논문 상세보기

곤충바이러스를 이용한 돼지 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 항원단백질의 발현 특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0654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당단백질(GP)2, 3, 4, 5, 및 막단백질(M), 그리고 뉴클레오캡시드(N) 등 6개의 구조단백질을 내포하고 있 으며 이들은 각각 ORF2-7 으로부터 암호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 핵다각 체병 바이러스(BmNPV)의 다각체 단백질 프로모터와 6개의 히스티딘 단편이 부착된 새로운 전이벡터인 pBmKSK4를 제작하여 각각의 구조단백질을 발현 시켰다. 목적유전자와 재조합된 전이벡터는 Bm5 세포에 bBpGOZA와 cotransfection 시킨 후, 순수 재조합 바이러스를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발현된 각각의 단백 질은 SDS-PAGE 분석 및 항-히스티딘 항체와 PRRSV 항체를 사용한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N 단백질만이 SDS-PAGE 상에서 발현이 가능하였고 나머지 구조 단백질은 항체수준에서만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P5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발현이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는데, 그 이 유는 GP5 단백질의 Bm5 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추정되었다. 각 단백질 발현 율의 향상을 위해 SUMO 유전자를 도입한 결과, 항원단백질의 발현율이 기존 보다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베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각 구조단 백질의 높은 발현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효과적인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저자
  • 오정미(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배성민(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구현나(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최재영(서울대학교 응용생물화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광식(동아대학교 생물공학과)
  • 노종열(서울대학교 응용생물화학부)
  • 제연호(서울대학교 응용생물화학부)
  • 진병래(동아대학교 생물공학과)
  • 유성식((주)중앙백신연구소)
  • 김재수((주)동부하이텍)
  • 김영인((주)동부하이텍)
  • 윤인준((주)중앙백신연구소)
  • 우수동(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