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역삼투용 Cellulose Triacetate 막의 제조와 특성 KCI 등재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ellulose Triacetate Membranes for Reverse Osmo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서 해수 담수화 기술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 담수화를 위한 고효율 저에너지 소모 공정으로 떠오르고 있는 역삼투막의 제조를 위해 cellulose triacetate(CTA)의 적용 가능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염소에 대한 안정성과 유기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CTA를 사용하여 막을 제조할 시 아세틸화도, 용매, 첨가제와 같은 제막 조성의 변화가 막의 성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높은 아세틸화도와 CTA의 용매인 다이옥산과 아세톤의 비에서 다이옥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유량과 염 제거율을 가지는 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첨가제로는 acetic acid와 maleic acid가 선호된다. 실제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상용화된 CTA 막(HOLLOSEPⓇ)을 적용해 본 결과 다른 화학적 처리 없이 계속적인 염소 처리만으로 장기간 안정된 유량과 수질을 나타낸다.

The technology of seawater desalination has been received much atten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water shortage through all over the world. In this study, it attempts to confirm the use-possibility of cellulose triacetate (CTA) for preparation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which have been highlighted as high efficiency and low energy consumption process for seawater desalination. The effects of casting dope parameters like an acetyl content, solvent, additives on the membrane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It was possible to produce the membranes which have high water flow rate and salt rejection with the increase of acetyl content and dioxane content among various dioxane/acetone ratios. Acetic acid and maleic acid were preferred for additives to produce high performance membranes. It was verified that HOLLOSEPⓇ module which is commercialized CTA membrane by TOYOBO Co. can produce stable water production and high-quality water for long-term operation in the practice plants without any chemical treatments.

저자
  • 남상용(경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공학연구원, 아이큐브센터) | Sang Yong Nam 주저자
  • 황해영(경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공학연구원, 아이큐브센터) | Hae Young Hwang
  • 고형철(경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공학연구원, 아이큐브센터, (주)에어레인) | Hyung Chul K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