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분불소계 Poly(Arylene Ether Sulfone) 블록이오노머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지체 함량의 효과 KCI 등재

Effect of Branching-agent Content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artially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Block Ionomer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7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연료전지용 프로톤 전도성 고분자로서 분지체 함량이 조절된 부분불소계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이오노머 블록공중합체막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지형태의 부분불소계 블록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를 위해 설폰화 활성이 높은 단량체, 설폰화 활성이 낮은 단량체 그리고 분지체를 합성하였고, 블록형성을 위해 biphenyl계 올리고머를 합성하였다. 분지체의 양에 따른 막 특성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biphenyl계 올리고머와 sulfonyl계 단량체의 몰 비를 4 : 6으로 고정하고 분지체의 함량을 2 mol%까지 늘려가면서 중부가형태의 열중합을 통하여, 다른 분지체의 함량을 가지는 공중합체를 얻었다(BBC-40Bx). 제조된 분지형태의 공중합체들을 chlorosulfonic acid (CSA)를 사용하여 후설폰화(post-sulfonation)하였다(SBBC-40Bx). 제조된 화합물, 단량체, 분지체 및 중합체들은 1H-NMR, 19F-NMR 및 FT-IR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지형태의 블록공중합체(SBBC-40Bx)는 분지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교환능력(IEC), 함수율 및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artially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block ionomer membranes with different branch degree for fuel cell ap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 sulfonable monomer, a non-sulfonable monomer and a trifunctional branching agent were synthesized and the sulfonable monomer was oligomerized to obtain block structures. The oligomer was then further polymerized with the non-sulfonable monomer and the branching agent. The mole ratio of oligomer : non-sulfonable monomer was fixed at 4:6 and the content of the branching agent was varied from 0 to 2 mol% (BBC-40Bx). Post-sulfonation of BBC-40Bx was carried out using chlorosulfonic acid (CSA) (SBBC-40Bx). All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1H-NMR, 19F-NMR and FT-IR. It was confirmed that the ion exchange capacity (IEC), water uptake and ion conductivity of SBBC-40Bx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branching agent content.

저자
  • 전성훈(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Seong-Hoon Jeon
  • 장봉준(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Bong-Jun Chang
  • 강호철(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Ho-Cheol Kang
  • 김정훈(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Jeong-Hoon Kim 주저자
  • 주혁종(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Hyeok-Jong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