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비자 지향적 감성디자인과 창의성 속성과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User's-Oriented Emotional Design and Elements of Crea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제품에 있어서 감성제품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감성적 디자인 제품에 대해 어떠한 요소가 창의적 사고와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디자인 창의성 속성은 2007년 김은주(kim Eun-Ju)의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에서 밝힌 디자인 평가 창의성 도구를 중심으로 12개의 대표적인 일반적 감성제품과 일반제품 중에서 형태, 기능, 크기가 다양한 MP3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감성제품전체에 대한 디자인 창의성 항목은 비전형성, 호감성, 유모성, 편리성, 현실성, 구매도가 관련이 있고, MP3는 차별성, 호감성, 유모성, 편리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성제품에 대한 디자인 창의성 항목의 공통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위의 2가지 실험 내용을 종합해보면 감성디자인은 디자인 창의성 평가 항목 중 독창성의 흥미성 항목과 실용성의 기능성 항목과 관련이 높은 것을 밝혔다. 따라서 향후에는 MP3 이외에 다른 제품의 디자인 창의성 항목간의 공통적 특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hat kind of creative thinking has related factors for emotion design products in order to let consumers focusing on the successful cases of emotion products. For the design creativity attribut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design evaluation creativity tools revealed by Kim Eun-Ju's 2007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tool development were used mostly and of the 12 most common emotion products and general product, MP3s, which have various forms, functions and siz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for experiment.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for design creativeness items of all emotional products, vision creation, favorableness, convenience, practicality and being purchasable were relevant, while for MP3, uniqueness, favorableness and convenience were relevant. Accordingly, the common features of design creativeness items for emotional products were identified. When summing up the contents of the two experiments above, for emotional designs, the interest level of uniqueness for the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items and the functional items for practicality had a high level of relativ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design creativity items for general products other than MP3s in the future.

저자
  • 진위엔 | Jin, Yuan
  • 권종대 | Kwon, Jong-Dae
  • 홍정표 | Hong, Jung-Pyo
  • 김태호 | Kim, Tai-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