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조형요소 인지특성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 of the designer and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ele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 조형화 과정은 실체적인 존재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며, 최종적으로 제품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 내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조형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디자이너의 주도적인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 다양한 조형 요소들을 활용하여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제품 형태의 조형화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요소들이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시각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제품의 조형화 과정에 직접적인참여를 하는 방법과 소비자의 요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조형화 과정에 반영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제시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품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정립을 선행하여 기본적인 제품 조형 구성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제품 조형요소와 제품 조형원리를 일부 설정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55개의 컨셉 제품과 64개의 스피커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일부 실험 자극물을 이용하여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결과 소비자와 디자이너는 형태의 조형 요소에 대해 어느 정도 시각 차이를 보이며 이는 디자이너의 경우 주관적인 디자인 통념에 의해서, 소비자의 경우 제품에 대한 미숙한 시각적 이해에 의해서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최종적인 감성반응을 이끌어내는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형태에 대한 시각 차이를 이해하고, 형태 조형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조형요소의 구성을 활용 할 수 있다고 본다.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shaping is the process of making a substantive existence, and ultimately it generates the outcome. The process of shaping is generally led by designer's initiative work, and in this process, various formative elements are used to generate the outcome. In this research, the basic purposes are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elements which generated by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and designer's view in the process of shaping of the produ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ective responses caused by those differences. Also, it will examine how the consumers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the shaping of the consumer-participated product, and the feasible guidelines of design in which consumers' needs can be reflected more efficiently to the process of shaping. As a result, consumers and designers have certain degree of difference of view-point about the formative element of the shape. The difference was due to subjective common ideas of design in case of designers, and in case of consumers, it was due to their immature visual understanding. There is another experiment of affective response about the shape of the product. First, I established the sensible image vocabulary based on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based on the vocabulary, I carried out the same experiments to the consumers and designers.

저자
  • 민경택 | Min, Kyung-Taek
  • 허성철 | Heo, Seong-Ch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