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색과 적색계열 천연염색 직물에 대한 사십대 중년층 소비자의 색채감성요인 KCI 등재

Color Sensibility Factors for Yellowish and Reddish Natural Dyed Fabrics by 40s Middle-Aged Consum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천연염색 직물의 색채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황색과 적색 계열의 색채를 대상으로 색채감성요인의 예측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색채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감각과 물리적 색채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견직물에 염색한 서로 다른 320종의 천연염색 색채를 군집 분석하여 선정한 각 4종씩의 황색계열과 적색계열의 색채에 대하여 40대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의미미분법에 의하여 색채감각 및 감성을 평가하였다. 색채감성용어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이 도출되었는데, 요인〈활동성〉에는 L*, b*, '맑다', '밝다'의 감각과 정적상관을 보여서, 명도가 높고 노랑기가 많은 황색계열 천연염색 직물들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요인〈독특성〉은 a*와 '따뜻하다'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서, 적색계열 천연염색 직물들에서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을 보였다. 요인〈편안성〉은 색채감각 '강하다'와 부적 상관을 보였는데, 황색과 적색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색채감성요인을 정량화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수립한 예측모델에서 요인〈활동성〉은 색채특성 L* 값이 클수록 더 강하게 인지되어서 무매염 황벽 염색 직물의 색채의 〈활동성〉 요인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요인〈독특성〉은 색채특성 a*와 색채감각 '가볍다'가 설명변인으로 진입하여서 a*값이 가장 높은 무매염 홍화300% 염색직물이 〈독특성〉 감성이 가장 강하게 인지되었다. 또한 요인〈편안성〉은 색채감각 '강하다'가 부적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강하다'의 점수가 가장 낮은 커피100% 알루미늄 2%매염직물 등의 〈편안성〉 요인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color sensation and sensibility for yellowish natural dye fabrics and reddish ones and to establish prediction models for color sensibility factors of them by color sensation and the related physical measurements focusing on 40s middle-aged people. Eight fabric stimuli which were dyed with a variety of yellowish or reddish natural dyes was subjectively evaluated in terms of color sensation and sensibility by 40s aged participants. As results, three color sensibility factors including 'Active', 'Characteristic', and 'Relax'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examined in respect of their relationships with color sensation and physical color properties. Color sensibility factor 'Active', the dominant factor for the naturally dyed fabrics was explained by L* and sensation 'Deep' in its predictive model and a yellowish fabric dyed with 300% solution of armur cork unmordanted was perceived the strongest in the factor. Factor 'Characteristic' was predicted by both a* and sensation 'Light' and reddish natural dye fabrics tended to be felt more strongly for it. Color sensation 'Strong' was the only predictor for factor 'Relax' in that naturally dyed fabrics with lower values for the sensation seemed to show higher 'Relax' factor and a reddish fabric dyed with safflower 125% was the highest for the color sensibility factor.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to design color-sensible natural dye fabrics for middle-aged people.

저자
  • 이은주 | Yi, Eun-Jou
  • 최종명 | Choi, Jong-M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