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주한옥마을 간판정비를 위한 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Design Application for Signboard Arrangement of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전주의 한옥마을을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서 진행하였던 간판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구성 방법은 표준화 디자인에 있어서 활용과 설명방법 그리고 각종 사인물에 있어서 올바른 설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인디자인 적용과 기본방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있어서는 전주시 시민과 외부인 그리고 한옥마을에 주거하는 주민 등 600명을 대상으로 한옥마을의 일반적 특성, 한옥마을의 정보습득과 이동성 그리고 한옥마을의 간판 규제와 범위 등 3분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주한옥마을에 있어서 디자인 컨셉과 세부적인 간판 적용방법을 규정하였고 사인물 디자인에 대한 픽토그램과 전통 한옥에 있어서 사인물 설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사인물 정비의 행정적 절차 규정에 있어서는 전주시와 간판 광고업자, 한옥마을 심의위원회, 지역주민의 상호협력 방법 등 행정적으로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사인디자인 사업진행 방향을 종합하였고 관련 담당부서와 협의를 통해 앞으로 전주한옥마을을 전통과 역사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based on signboard arrangement works in order to foste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a main city of traditional culture. Overall composition has been suggested based on basic direction of signboard design in order to ensure design standardization method and utilization and right installation of various signboards. Enquete had been progressed by dividing into three area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mobility and regulation/range of signboard with taking 600 number of persons from Jeonju citizens, outsiders and resident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targets. Based on above result, design concept and detailed sign application method had been defined and pictogram and signboard installation method of Korean style house was suggested. As f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regulations of signboard arrangement, cooperative method among Jeonju City, publicity company, deliberation committee and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were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had summarized the project progress of signboard design fo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so that it may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nsuring that this village would be developed as a region where tradition and history will be well conserved in the future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저자
  • 형성은 | Hyoung, Sung-Eun
  • 홍정표 | Hong, Jung-Pyo
  • 정성환 | Chung, Sung-W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