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머를 경험하는 동안 나타나는 아동의 안면근육반응을 확인하고 유머 정서에 의해 유발된 안면근육반응과 우울 수준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실험에 앞서 또한 아동의 우울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12~13세의 아동 43명(남 22명)에게 한국판 PIC 검사의 우울 척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이 시작되면, 자극이 제시되기 전 60초 동안 안정 상태를 측정한 후, 유머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 자극을 제시하는 동안 안면근육반응(양측 추미근, 구륜근)을 측정하였다. 자극 제시가 끝나면 자신이 경험한 정서를 정서평가척도 상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아동의 95.3%(41명)이 유머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고 그 강도는 3.81(5점 만점)로 나타났다. 안면근육반응은 안정 상태에 비하여 유머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안면근육반응과 우울 수준과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우측 추미근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우울 점수가 높은 아동일수록 유머를 경험할 때 안면근육을 적게 움직임을 의미한다.
The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facial EMG responses during the humor condition. Forty-three children(age range 22-49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in children. While children were presented to audio-visual film clip inducing humor, facial EMG were measured on their faces(bilateral corrugators and orbicularis). A baseline state was measured during 60 seconds before the presentation of the stimulus, i.e., emotional state lasting 120 second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port the intensity of their experienced emotion. The results of emotion assessment showed 95.3% appropriateness and 3.81 intensity on the 5 points Likert scale). Facial EM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hile participants experiencing humor compared to baseline state. Additionally, the resul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ight corrugator response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The study findings showed the more children experienced depression, the less facial EMG activity they had while experiencing hum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