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와 관객과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전시 해석매체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Emotional Communication of Interactive Media Art and Audience -a focus on the affects of exhibition interpretation medi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는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참여와 소통이 가장 중요시 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예술작품을 관람하는 관객은 작가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일 방향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이었다면,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객의 입장은 작품과 상호작용하면서 작품을 완성하는 적극적 참여자이며 생산자적 입장으로 변화 되었다. 본 연구는 수용미학적 측면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장에 전시된 작품의 사례를 통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과 관객이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작품과의 교감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전시 해석매체인 도슨트의 설명과 월텍스트를 활용하여 관람하였을 때 관객의 감성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였다. 도슨트는 작가의 의도와 작품에 대하여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설명하면서 관람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작품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였다. 그 결과 작품과의 교감도를 높이는데 전시 해석매체의 역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도슨트의 역할이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적극적 참여와 교감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teractive media art can be said to be art in which audienc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 i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Previously the role of the audience is to unilately accepted the artist's message, whereas the role of the audience observing interaction media has been changed to the point of the producer, actively participating in completing the artwork through inter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interactive media artworks from the audience's point of view (in the view of reception theory) by the investigation of the case of the artworks that were on exhibition. Employing the exhibition interpretation medium with docent explanation and wall text was experienced how to improve audience's communication when they watched the artworks. The docent explained the intention of artists and their artworks in the manner of storytelling and induced the audience to focus naturally on the artworks. As the result, the role of the exhibition interpretation mediu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 in enhancing the degree of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artworks, so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present that the role of the doc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 audience participation and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artworks.

저자
  • 정면주(경기과학기술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 | Jung, Myun-Joo 교신저자
  • 손주영(서울대학교 미술관) | Son, Ju-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