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한 PMV 지표 기반 쾌적환경 조성의 타당성 연구 KCI 등재

The Validation Study of Shaping Comfortable Environments Based on the PMV Index Using Facial Skin Temp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8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생리적 지표 중 하나인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하여 PMV 지표 값에 기반하여 조성된 쾌적/불쾌 실내 환경을 적절하게 구분할 수 있는지 그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쾌적 실내 환경에 해당되는 PMV 지표 값을 기준으로 물리적 환경을 쾌적 실내 환경과 불쾌한 실내 환경으로 각각 구분하고, 구분된 환경내에서 재실자의 안면 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MV 지표 값으로 구분된 쾌적 실내 환경과 불쾌한 실내 환경에서의 재실자의 안면 피부온도가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면 피부온도가 PMV 지표에 기반한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에 있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쾌적한 실내 환경에 비해 불쾌한 실내 환경에서 안면 피부온도가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통해 오히려 PMV 지표 값에 기반을 두고 조성되는 쾌적/불쾌환경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음도 시사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validity of whether the PMV index-based comfort- or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could be classified by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ne of the physiological indicator for human. To do this, we distinguished between a comfort thermal environment and an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using the PMV value, and then facial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in both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f occupan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omfort- and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It suggested tha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could be used in shaping th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PMV index. While this result suggested the PMV index-based on comfort and uncomfort indoor environments could not be valid, because the facial skin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than in the comfort thermal environment.

저자
  • 김보성(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인간심리연구소) | Boseong Kim
  • 민윤기(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Yoon-Ki Min
  • 신에스더(영남대학교 의료공학연구소) | Shin Esther
  • 김진호(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Jin-Ho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