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들의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와 게임 중독과의 상관관계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for Game Element and Game Addic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0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와 게임의 중독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현재 초등학생들에게 있어 게임 중독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게임요소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호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와 게임요소와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 중독과 관련된 게임 요소의 상관관계를 밝혀 게임 중독을 예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감각적 욕구충족, 지적욕구충족, 현실이탈 욕구충족, 경쟁 욕구충족, 사회적 욕구충족 등 측정한 모든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게임을 선호하는 학생이 게임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에 비해 높았다. 사회적 욕구충족에 대한 선호도는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감각적 욕구충족과 지적 욕구충족에 대한 선호도는 RTS 게임을 선호하는 학생이 가장 높았고, 레이싱과 액션게임을 선호하는 학생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for game element and game addic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game addiction is reaching the serious situation. However, there are almost no research that specifically inquired into preference for game element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research that inquired into relationship between game element and game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vent game addiction by clarifying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to game and the relevant game element.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preference for game el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of preferring a game were higher compared to the students of not preferring a game. The preference for the social desire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lower academic achievements. The preference for the sensible desire satisfaction and for the intellectual desir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students of preferring RTS game. And, the preference in students of preferring racing and action game was the lowest.

저자
  • 심정우 | Shim, Jeoung-Woo
  • 이재무 | Lee, Jae-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