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백운석 광석의 산상과 광물학적 특성 KCI 등재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Dolomite Ores from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9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국내 주요 백운석 광산에서 산출되는 백운석 광석과 수반광물에 대하여 X-선회절분석, 박편관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통하여 광물학적 및 조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의 산출상태와 성인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백운석 광석은 담회색에서 암회색을 띠며 입자도 세립에서 조립까지 다양하였으나, 주로 거의 순수한 돌로마이트로 이루어졌다. 일부 백운암에서는 소량의 방해석, 석영, 운모가 함유되었다. 세맥, 암맥, 변질부 등에서 국지적으로 방해석, 석영, 일라이트, 장석, 고령토광물, 녹니석 등이 산출되며, 일부 광산 변질부에서 세피올라이트와 규회석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온석면과 투각섬석과 같은 석면광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광산내 적갈색 및 황색을 띠는 점토물질들은 주로 일라이트로 구성되며, 카올린광물과 스멕타이트가 수반되기도 한다. 이들은 암맥관입과 관련된 부분적 열수변질과 이후의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백운암층의 구성광물, 조직, 산출 상태와 기존의 연구결과로 볼 때, 백운석 광상은 선캄브리아기와 고생대의 얕은 바다에서 퇴적된 석회질 퇴적물이 속성작용에 의해 백운석화 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The occurrenc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dolomite ores were investigated from major dolomite mines in South Korea. Mineralog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ores and associated minerals were analyzed using X-ray diffraction, thin section petrograph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olomite ores were light to dark gray in color and mainly composed of dolomite in varying particle size with minor amounts of calcite, quartz and micas. Calcite, quartz, illite, feldspar, kaolin minerals, and chlorite occurred in local veins, dikes and alteration zones. Sepiolite and wollastonite occurred in the altered part of some mine. Asbestos minerals such as chrysotile and tremolite, however, were not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Reddish brown to yellow clay materials were mainly composed of illite, occasionally associated with kaolin minerals and smectite. These clay minerals might be a product of the local hydrothermal alteration related to the dyke intrusion and subsequent weathering. As well indicated in the previous studies, mineral composition, texture, and occurrence of the dolostone beds suggest their formation through the diagenesis of carbonate sediments deposited in the shallow sea during the Precambrian to Paleozoic period.

저자
  • 황진연 | Hwang, Jinyeon
  • 최진범 | Choi, Jin Beom
  • 정기영 | Jeong, Gi Young
  • 오지호 | Oh, Jiho
  • 최영훈 | Choi, Younghun
  • 이진현 | Lee, Jin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