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머스크멜론의 과실성숙기 토양수분이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Soil Water Content during at Fruit Ripening Stage on Yield and Quality in Musk mel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0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네트 멜론 재배에 있어서 과실비대성숙기의 토양수분관리방법이 과실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원더풀하계1호 품종을 플라스틱하우스 내에서 착과후 20일부터 관수개시점을 -10, -20, -30, -50, -100kPa로 각각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 경엽의 생체중은 관수량이 가장 많았던 -10kPa에서 가장 무거웠고 -100kPa에서 가벼웠으나 그 차이는 작았으며, 건물율은 100kPa구가 가장 높고 -10kPa에서 낮았다 상품수량은 -50kPa, -100kPa, -30kPa, -20kPa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토양수분이 많았던 -10kPa구에서 가장 적었다. 과실의 크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당도는 -50kPa구가 15.1 。 Brix로 높았던데 비해 -10kPa구가 14.4 。 Brix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숙기에는 -50kPa 도달시 10mm 내외로 관수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water control on yield and quality of musk melon in plastic film house, irrigation points were treated with -10, -20, -30, -50 and -100 kPa by 10mm dripping each time at fruit developing and ripening stage, respectively. Fresh weight of stem and leaves was not significant among irrigation points, but percentage of dry matter was highest at -100kPa and lowest at -10kPa. Marketable yield was not different among -50kPa, -100kPa, -30kPa and -20kPa and lowest at -10kPa. Sugar content of the flesh fruit at ripening stage was 15.1 。/Brix at -50kPa and 14.4 。/Brix at -10kPa Therefore, optimum irrigation point at ripening stage of fruit is -50kPa by 10mm dripping each time. time.

저자
  • 권준국
  • 이재한
  • 엄영철
  • 김회태
  • 최영하
  • 박동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