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박하 속 식물의 뗏장형성에 미치는 삽목방법과 토심의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Cutting Methods and Soil Depth on Sod Formation of Mentha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3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허브 식물을 조경소재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삽목방법, 토심 및 품종에 따라 뗏장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1cm, 3cm, 5cm의 토심별로 천삽, 와삽, 절와삽을 한 다음 애플민트,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 세품종을 재료로초장과 마디수, 생체중, 뗏장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세 품종 중 애플민트는 신초의 수는 적으나 엽장, 엽폭이 크기 때문에 피복률이 좋고 생장속도도 빨라서 빠른 시기에 뗏장(sod)형성이 가능하였다. 스피어민트는 초장이 작고 발육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뗏장의 이동성, 저장성면에서 양호하였다. 삽목 방법은 천삽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나 뗏장 품질은 가장 낮았으며 절와삽은 초장이 작고 신초수가 많아 고품질의 뗏장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토심별로 본 생육의 차이는 5cm의 상토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뗏장의 품질과 이동성은 1cm의 상토에서 밀착되어 있어 근권부의 뗏장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best condition in growth and sod quality of Mentha spp. according to cutting methods and soil depth. Applemint (M. suaveolens), Peppermint (M. piperita), and Spearmint (M. spicata) were used. Regardless of cultivar and soil depth condition, the growth rate in top cutting was higher than layering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layering and layering without apical meristem was not significant. Optimal condition for growth was 5cm depth of soil. However, the shallower the depth of the soil, the better quality of sod. Among three Mentha species, M suavelens showed plant height and node number and M. piperita had shoot number were higher than other variety. The best condition of sod was top cutting and 1cm depth of soil regardless of cultivar.

저자
  • 이충일 | Lee, Chung-Il
  • 남상용 | Nam, San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