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수량 조절이 토마토 과실의 착색불량과 발생 억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Deficit Irrigation on the Reduction of Green Shoulder Fruits in Fresh Tomat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3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관수량 조절을 통한 수분 스트레스 처리가 토마토 과실의 착색불량과실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행 처리(-15 kPa)에서는 착색불량과실의 발생률이 26.4%였으나 관수량을 줄인 -30 kpa 처리구에서 12.5%로 50%이상 감소하였다. 과실의 전체 칼리 함량은 정상과실과 착색불량과실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착색불량과실의 경우 적색인 상단부위에 비해 녹색인 하단부위 과육에서 25% 많았다. 전반적으로 착과 후 시기가 경과할수록 가용성 당 함량은 증가하고 전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착색불량과 실의 녹색인 하단부위 과육에서는 수확시기가 경과하여도 전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Sucrose phosphate synthase 활성은 착색불량과실에 비해서 정상 과실의 과육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과육의 부위별 활성 차이도 적었다. Invertase의 활성은 정상과실에서는 상단부위와 하단부위 과육 간에 활성 차이가 없었지만, 착색불량과실에서는 적색인 상단부위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녹색인 하단부위에서는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eroxidase와 alcohol dehydrogenase의 활성은 정상과실에서 높았으며, 착색불량과실에서는 녹색인 하단부위 과육과 적색인 상단부위 과육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마토의 착색불량 과실은 과실내의 여러 가지 대사작용 불균형으로 발생되는데, 적당한 수분 스트레스 처리로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deficit irrigation by different soil moisture-based water potential on the reduction of green shoulder fruits in fresh tomato were investigated. Deficit irrigation with -30 kPa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green shoulder fruit by 53.7% compared to the -15 kPa treatment. The total concentrations of potassium in levels of whole fruit was not different between normal red fruit (NRF) and green shoulder fruit (GSF).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potassium in distal part of GSF lower than that of a basal part of GSF Total soluble sugar contents in NRF and GSF were increased during the maturation periods. Contents of starch in NRF and distal part of GSF were decreased during the maturation periods. However, contents of starch in basal part of GSF was not change during the maturation periods. Activity of sucrose phosphate synthase was higher in NRF than that of GSF. Activity of acid invertase in NRF and GSF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maturation periods. Activity of acid inverta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distal and basal part of GSF. Total activities of peroxid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in NRF were higher than that of GSF.

저자
  • 강남준 | Kang, Nam-Jun
  • 조명환 | Cho, Myeong-Whan
  • 최영하 | Choi, Young-H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