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Critical Concentrati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Maehyang' Strawberry (Fragaria×ananassa Duch.) as Influenced by Magnesium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40mg·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gnesium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of and nutrient uptake by 'Maehyang' strawberry. Tissue analysis based on dry weight and petiole sap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level in plants when Mg deficiency disorders developed in strawberry plants. In the Mg deficient plants, the spotted yellowing or yellowing area developed on the interveinal area of mature leaves. The dark brown color also developed on the interveinal area of mature leaves with marginal browning or marginal necrosis. The response in dry weight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to elevated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was quadratic and the equation is y=6.84+1.7533x-0.92782 (R2=0.1081***). But the Mg contents in tissue increased lineally with the equation of y=0.1764+0.1275x (R2=0.8307***). The trends of fresh weight production and Mg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were also quadratic (y=24.127+7.3565x-1.1252, R2=0.2314***) and linear (11.954+5.793x, R2=0.6869***), respectively. To prevent growth suppression, the Mg concentrations based on dry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and in petiole sap should be in the range of 0.30 to 0.65% and 19 to 40mg·kg-1, respectively, fer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