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비처리가 Eucalyptus pellita와 Acacia mangium 용기묘의 생리 및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Different Fertilization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s of Eucalyp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6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에서는 E. pellita와 A. mangium 용기묘를 대상으로 시비 처리에 따른 광합성, 엽록소 형광반응, 엽록소 함량 등의 생리적 특성 및 생장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열대림 두 수종에 대한 시설양묘과정에서의 최적 시비 조건을 구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비처리에 따른 E. pellita의 광합성 능력, 광화학 효율 및 엽록소 함량은 1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2g·l-1에서는 과량 시비로 인한 생육저하 현상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 mangium은 2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광합성 능력, 광화학 효율 및 엽록소 함량을 보이면서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한 능력을 나타냈다. 두 수종 모두 적정 시비 조건에서 높은 엽록소 함량과 광화학 효율에 의해 활발한 광합성 활동이 이루어졌다. 즉, 양분 조건에 따라 광합성 기구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근원경과 간장 생장 및 물질생산량 또한 E. pellita는 1g·l-1, A. mangium은 2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생리적 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H/D율과 T/R율은 시비 처리구가 무시비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지만, 시비 처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묘목품질지수는 두 수종 모두 위 결과와 같이 수종별로 적정 시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정 시비 처리에 의해 생산 된 묘목 우수한 형질을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열대 수종인 E. pellita와 A. mangium의 용기묘 양묘 시 시비 처리에 따른 양분 조건에 의한 생리 및 생장 특성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양분 부족은 광합성 기구의 활동 감소에 의한 생장 저하가 초래되어 불량한 묘목이 생산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양묘과정에서 수종별 양분 요구도에 맞는 생육환경조절은 시설양묘시업에 의한 건전한 묘목을 대량 생산함과 동시에 조림과정에서도 높은 활착과 생장으로 우수한 조림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률적인 시비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별 상대생장량을 조사하여 수종별 생장패턴에 따라 기간별로 양분 요구량에 맞는 집중, 효율적인 시비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띠라 양묘과정에서의 환경적 측면과 함께, 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어 경제적으로도 묘목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ptimal nutrient condition of container seedling production of two tropical species for high seedling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otosynthesis,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 seedlings of Eucalyp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growing under four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Con., 0.5 g·l-1, 1.0 g·l-1, and 2.0 g·l-1 fertilization). E. pellita showed outstanding photosynthetic capacity, photochemical efficiency, and chlorophyll contents at 1.0 g·l-1 fertilization. Meanwhile, E. pellita showed the highest photosynthetic capacity, photochemical efficiency, and chlorophyll contents at 2.0 g·l-1 fertilization, as fertilization rate were increased, those of A. mangium increased. Lik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oth E. pellita at 1.0 g·l-1 fertilization and A. mangium at 2.0 g·l-1 fertilization were higher root collar diameter, height, biomass, and seedling quality index than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showed that E. pellita at 1 g·l-1 fertilization and A. mangium at 2.0 g·l-1 fertilization is optimal nutrient condition, respectively. Moreover, fertilization rate controlling is very important for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container seedling.

저자
  • 박관수 | Park, Gwan-Soo
  • 배종향 | Bae, Jong-Hyang
  • 이수원 | Lee, Soo-Won
  • 조민석 | Cho, Min-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