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딸기 '매향'과 '설향'의 육묘기 자묘 적엽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Changes i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cv. Maehyang and Seolhyang) in Response to Defoliation during Nursery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6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자묘 적엽에 따른 묘소질과 개화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딸기 연결 포트에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7월 하순부터 정식 전까지 10일 간격으로 4~5회에 걸쳐 완전히 전개된 엽을 기준으로 2매, 3매, 4매를 남기고 적엽하였고 대조구로 무적엽구를 두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엽의 강도가 강할수록 엽병장이 감소하여 자묘의 도장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관부 외경은 적엽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관부 내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차 근수는 3매 또는 4매 적엽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체중, 엽면적은 적엽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근중은 일부 3매 또는 4매 적엽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엽은 지하부에 비해서 지상부의 생육을 억제하여 증산량 감소에 의한 정식 후 활착이 보다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적엽의 강도가 강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적엽 시 체내 질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서 저온 단일 조건에서의 화아분화를 촉진하고 포장내 균일한 개화를 유도하였다. 상품과 수량은 3매 적엽 처리구에서 무적엽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foliation treatment on the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Fragaria×ananassa cv. Maehyang and Seolhyang) during nursery period. Leaves of strawberry plantlet had been removed except two, three and four fully expanded leaves until planting date. As the intensity of defoliation was strong, the petiole length was reduced and overgrowth of strawberry plantlet was suppressed. Outer diameter of crown in defoliation treat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inner diameter of crown was not significant. Number of primary roots of the 3 leaves or 4 leaves defoliation treatment generally tended to increase,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Fresh weight and leaf area in the defoliation treat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root weight were higher in partial 3 leaves or 4 leaves defoliation treatment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Because T/R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as growth inhibition of above-ground part compared to underground part, it is considered easy to take rooting after plantlet plating. As the intensity of defoliation was strong, chlorophyll contents tended to decrease significantly. Reduction of the endogenous nitrogen by defoliation effectively led to promote floral differentiation at low temperature and short day condition. This promoted timing of budding and flowering and also induced uniform flowering after plantlet planting. Marketable fruit yield of 3 leaves defoliation treatment tend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저자
  • 김대영 | Kim, Dae-Young
  • 김태일 | Kim, Tae-Il
  • 김운섭 | Kim, Woon-Seop
  • 강윤임 | Kang, Yun-Im
  • 윤형권 | Yun, Hyung-Kweon
  • 최종명 | Choi, Jong-Myung
  • 윤무경 | Yoon, Moo-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