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추출조건에 따른 우롱차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hysicochemical Quality of Oolong herbs tea by Extraction Condi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30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우롱차의 에탄올 추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농도 및 온도별로 우롱차의 품질에 미치는 유효성분들을 분석, 조사하였다. 우롱차엽의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시 80~85℃, 50%이상의 에탄올 농도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에서 유리당은 sucrose가 37.2~55.0 mg/100 g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반면에 arabinose는 3.3~5.6 mg/100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은 furmaric acid가 0.2477~0.7842 mg/g, citric acid가 0.2047~0.6204 mg/g malic acid가 0.1619~0.4382 mg/g로 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histidine 등 15종류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proline이 0.693~1.681 mg/g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tyrosine, glutamic acid, valine, aspartic acid 등도 다른 유리아미노산보다 많은 양을 보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탄닌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38.6, 38.5 μg/100 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닌의 함량은 낮아져 95% 에탄올 농도에서는 24.2 μg/100 g을 나타내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추출용매의 차이에도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그 함량은 12.65~14.08 mg/g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6.95 μg/g과 6.50 μg/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scorbic acid의 함량은 낮아져서 95% 에탄올에서는 2.78 μg/g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의 농도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떫은 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농도를 25%로 하여 추출한 우롱차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extraction condition and quality attributes components in Oolong tea were investigated. Extraction yield was high in 80~85℃ above 50% ethanol solution. Sucrose content most high among the free sugar ranged 37.2~55.0 mg/100 g, while arabinose was the least. Organic acids in ethanolic extracts were furmaric, citric and malic acid. Free amino acids were 15 kinds and contents of proline, tyrosine and glutamic acid were comparatively high. Tannin content extracted from water and 25% ethanol solution were 38.6 and 38.5 μg/100 g, it decreased as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 Caffeine content did not changed as extraction conditions. Ascorbic acid content was 6.5 μg/g when extracted from 25% ethanol solution, it decreased as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 Bitter and astringent taste affected to overall preference of Oolong tea. Tea manufactured from 25% ethanol solution extracts recorded most high organoleptic score than any other extraction condition.

저자
  • 박상규 | Park, Sang-Kyu
  • 김종국 | Kim, Jong-Kuk
  • 김준한 | Kim, Jun-Han
  • 문광덕 | Moon, Kwang-Deok
  • 오상룡 | Oh, Sang-L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