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1.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생육한 새송이버섯의 식품기능적 특성과 무기질 및 유리아미노 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청적, 청녹, 적녹 혼합광을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대조구인 형광등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31 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에서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8종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청색광을 포함한 모든 처리구(Blue, B*R, B*G, B*R*G*U) 및 녹색광에서 대조구보다 높았다. 아미노산 중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ornithine, lysine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β-alanine, β-aminoisobutyric acid, l-methylhistidine, citrulline 등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송이버섯의 무기질은 K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Na, Mg, Ca, Fe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Mn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Ca은 청색광을 제외 한 모든 LED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e은 녹색광과 청적 혼합광, K는 적색광과 UV-A, Mg은 적색광, UV-A, 적녹 혼합광에서 함량이 높았다. 총 페 놀함량은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적 및 청녹 혼합광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적녹혼합 광을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버섯시장 규모는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등으로 규모화, 생산성향상으로 2010년 버섯의 생산액은 8,860억원이었으며, 2011년 9,492억원, 2012년은 1조 168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005년 이후 연평균 7.1% 성장기준). 특히 액체 종균접종과 병재배기술이 일반화된 새송이버섯, 팽이버섯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LED의 성능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LED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개발과 백열전구 및 조명기구를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고 농업분야에도 LED제어를 식물의 생장에 적용키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LED(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란 반도체 발광소자로 광효율이 높고 반영구적인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빛으로 백열등보다 수명이 10~30배 길고 백열등과는 다르게 열이 나지 않으며 광효율이 백열등의 5%, 형광등의 40%에 비해 90%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큰 장점이 있는 광원이다. 최근 국외 수출이 확대되고 있는 새송이버섯의 초발이 이후 적색LED를 광량자 10.7 Pmol/m2s 설정, 1시간 점등, 1시간 소등할 경우 상품수량 160g으로 기존의 형광등 보다 약 20% 높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소득향상을 기대할 수 나타났다. LED 광량과 색상제어를 통해 갓 버섯종류별로 요구되는 빛의 조건 제어가 가능하다. 이는 버섯재배효율 향상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3.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각종 영양적 기능적 특성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호박과 단호박의 식품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식품가공용 중간 소재로서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자 비교 검토하였다. 단호박은 수분함량이 87.87%로 호박의 94.19% 보다 월등히 낮았으며 기타 일반성분은 단호박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순이었으며 단호박에는 소량의 mannitol 함유되어 있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호박은 526n1g%, 단호박은 846mg%로 단호박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호박의 경우 aspartic acid threonine, cystine의 함량이 높았고 단호박에서는 cystina arginine, tyro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에서 단호박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비휘발성 유기산함량은 호박이 124.22mg%,단호박이 2배가량 많았으며 호박에는 malic arid가 단호박에는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지방산의 조성은 호박의 경우 palmitic acid, Iinolenic acid, Iinoleic arid 순이었으며 단호박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호박은 52.3%, 단호박은 71.5%를 차지하였다. 또한 무기질, vitamin C 및 carotenoid 함량 등에서도 단호박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 영양적으로는 호박보다 우수하였다.
        4,000원
        4.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주요지역에서 생산되는 곶감 및 표면 백색분말의 당조성과 분말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곶감과육의 당함량은 56~59% 정도였으며 주로 glucose와 fructose로 이루어져 있었다. 백색분말은 당 84.6%, 수분 12.5% 및 불용성 물질이 2.7% 정도였으며 당조성에 있어서는 glucose가 83.3%를, fructose가 16.7%로 대부분이 glucose였다. 백색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판, 꽃, 침 및 뿔등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으며 수화후 재결정화한 glucose와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곶감 표면의 백색분말은 건조과정중 과육내부의 당이 수분의 이동과 함께 건조표면으로 이동하여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주로 glucose가 결정화된 것으로 보여진다.
        4,000원
        5.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과육과 곶감 제조시에 폐기되는 많은 양의 감껍질의 유효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감껍질은 과육부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높았으며 그 중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이 크게 높았고 가용성 탄닌의 함량은 과육이 다소 높았다. 총당의 함량은 과육부의 함량이 크게 높았으며 구성당의 조성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각각 약 절반씩 함유되어 있었으며 sucrose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아미노산 함량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유리아미노산은 과육부가 껍질부보다 오히려 높았다. 감과육의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 였으며 감껍질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lt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 과육분말 및 껍질분말을 이용하여 당과자를 제조하였으며 5~10% 첨가할 경우 기호성이 인정되었으며 곶감떡의 경우 감 절편(slice)제품은 10~20% 첨가시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나 껍질은 기호도가 낮았다. 감과육분말을 이용하여 개발한 죽제품의 경우 과육 3%외에 쌀가루, 찹쌀가루, 옥수수전분, 탈지분유 등을 첨가하였을 때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껍질로서는 죽제품의 개발이 어려웠다.
        4,000원
        6.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결명자 종실을 볶음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볶은 후 결명자차를 제조하여 5단계 평점법으로 각각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결명자의 성분조성은 수분 11.6%, 조단백질 13.1%, 조지방 9.4%, 조섬유 13.8%, 조회분 4.9%, 가용성 무질소물이 47.2%이었다. 결명자를 볶음 처리하여 제조한 결명자차에서 관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향미성분은 단맛, 떫은 맛, 시큼한 맛, 쓴맛, 볶은 커피냄새, 볶은 보리냄새 및 탄내 등이었으며 결명자차의 관능적 품질을 묘사분석에 의하여 평가한 결과 볶음처리함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지나친 볶음처리시 쓴맛, 탄내 등에 의하여 낮은 관능 평점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단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0℃에서 20분간 볶음처리한 경우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7.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롱차의 에탄올 추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농도 및 온도별로 우롱차의 품질에 미치는 유효성분들을 분석, 조사하였다. 우롱차엽의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시 80~85℃, 50%이상의 에탄올 농도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에서 유리당은 sucrose가 37.2~55.0 mg/100 g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반면에 arabinose는 3.3~5.6 mg/100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은 furmaric acid가 0.2477~0.7842 mg/g, citric acid가 0.2047~0.6204 mg/g malic acid가 0.1619~0.4382 mg/g로 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histidine 등 15종류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proline이 0.693~1.681 mg/g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tyrosine, glutamic acid, valine, aspartic acid 등도 다른 유리아미노산보다 많은 양을 보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탄닌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38.6, 38.5 μg/100 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닌의 함량은 낮아져 95% 에탄올 농도에서는 24.2 μg/100 g을 나타내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추출용매의 차이에도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그 함량은 12.65~14.08 mg/g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6.95 μg/g과 6.50 μg/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scorbic acid의 함량은 낮아져서 95% 에탄올에서는 2.78 μg/g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의 농도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떫은 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농도를 25%로 하여 추출한 우롱차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8.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시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국내 유명산지의 건시를 시료로 하여 건시의 제조시험과 품질평가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그 품질요소를 조사하였다. 건시의 수분함량은 30-36%였으며, 탄닌함량은 0-20%로 무처리구는 CO2와 alcohol 처리구보다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전당함량은 55-60%였고 그 구성은 glucose와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열풍건조에 의한 건시의 제조는 천일건조보다 그 품질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특히 slice 한 제품의 품질은 전과의 경우보다 비교적 우수하였다.
        4,000원
        9.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과실의 가공 및 저장중 갈변기구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밤에 함유된 polyphenol 화합물 및 PPO를 분리, 동정하고 PPO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의 total phenol 함량은 이었고 ferulic acid, caffeic acid, synapic acid, p-coumaric acid, gallic acid, salicyl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PPO를 분리, 정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단일의 단백질 및 효소활성밴드를 확인하였으며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도는 260.9이고 조효소액보다 11.7배 정제되었다. PPO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9, 였으며 효소활성은 에서 15분 처리시 거의 실활되었다. 무기염의 영향을 본 결과 , , 들은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나 , , 는 활성을 저해시켰다. 저해제로는 L-ascorbic acid, thiourea, sodium chloride, L-cysteine의 저해작용이 강했다. 밤의 PPO는 o-diphenol에 대한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catech이에 대해 가장 강했으며 monophenol에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PO의 Km값은 catechol에 대해 5mM이었다.
        4,000원
        10.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시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물성적 특성과 세포벽 구성성분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건시의 수분함량은 30-36% 정도였으며 물성특성 중 경도는 수분함량이 낮은 둥시(상주), Hagakure 및 고종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물성특성치 중 부서짐성, 경도, 껌성, 씹힘성은 품종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응집성, 부착성 및 탄성은 품종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세포벽의 함량, 세포벽의 펙틴물질 및 칼슘 함량은 경도가 높은 품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펙틴물질 중 수용성 펙틴은 경도가 낮은 품종에서 그리고 산 및 알칼리가용성 펙틴은 경도가 높은 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건시과육의 세포벽을 관찰한 결과 경도가 높은 품종의 세포벽이 비교적 견고하게 관찰되었다.
        4,000원
        11.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농도의 탄산가스를 단기간 처리한 딸기를 0.06mm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저장하는 동안 포장내부의 기체조성,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과육의 경도 및 과피의 색도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중 포장내부의 기체조성은 저장초기에 급격히 변화하다가 저장14일 이후에는 산소농도 1~2%, 탄산가스농도 8~9%를 유지하였다. 무포장구의 중량감소율은 저장말기까지 12% 정도였으나 포장구는 약 2%정도의 중량감소율을 보였으며 탄산가스처리에 의해 부패율의 증가가 크게 억제되었다. pH는 다소 증가한 반면 적정산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당도는 탄산가스처리 및 포장에 의해 감소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과육의 경도는 탄산가스 처리에 의하여 저장14일까지 크게 증가되었으며 과피의 a값 역시 탄산가스 처리 및 포장에 의해 그 감소가 억제되었다. ascorbic acid의 함량은 저장 14일까지는 무포장구가 높았으나 그 이후는 포장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2.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시제조 중 invertase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고 정제된 invertase의 효소적 특성에 관하여 실험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invertase의 활성은 증가하여 건조 10일째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건시에서 invertase를 250 mM potassium phosphate(pH 7.4)로 추출하여 (NH4)2SO4염석, DEAE-cellulose 및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의 과정으로 정제한 결과 정제도는 조효소액보다 약 27배 증가되었으며 회수율은 약 11%였다. 최적 pH는 sucrose, raffinose에 대하여 각각 5.0과 6.0으로 나타났으며 최적온도는 40℃였다. 열과 pH 안정성은 50℃까지 그리고 pH 5 부근에서 안정하였다. Sucrose에 대한 Km값은 2.5 mM이었으며, 정제된 invertase는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상에서 하나의 band를 나타내었다.
        4,000원
        13.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숙 중 토마토 과실의 -galactosidase의 활성 변화와 정제한 효소의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성숙단계에 따른 Toatl activity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한 결과 -galactosidase 3개의 isoenzyme (-galactosidase I, II 및 III)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각 isoenzyme의 성숙에 따른 활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Mp에서는 -galactosidase I, II 및 III는 각각 69.8, 31.8 및 170.8이었으나 RP에서는 48.7, 88.4 및 136.8을 각각 나타내어 -gal I과 III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galactosidase II의 활성은 2.8배 증가하였다. -galactosidase I, II 및 III의 최적 pH는 각각 3.9, 4.2 및 3.9였으며 최적 온도는 및 였다. pH3.0~6.0에서 안정하였고 또한 3개의 isoenzyme은 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50% 소실되었다. 각 isoenzyme은 에 의해 활성이 다소 증가되었으나 와 SDS에 의해 활성이 30~40% 감소되었으며 에 의해서는 완전히 저해되었다. -gal I, II 및 III의 km치는 각각 0.36mM, 0.63mM 및 0.45mM이었으며 반응속도는 기질의 농도가 (M)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4,200원
        14.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시제조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품종에 따른 화학성분 및 당조성의 변화와 생과 및 건시의 물성에 관하여 실험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가용성 tannin은 acetaldehyde, alcohol의 증가와는 반대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경산반시와 평핵무(平核無)에서 비교적 컸다. 건조중 당조성의 변화는 sucrose가 건조초기에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하여 건시과육의 당조성은 품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나 glucose와 fructose가 비슷한 함량이었으며 백분은 대부분 gluc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과와 건시의 물성을 측정해본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 평핵무(平核無), 사곡시는 건시제조용 품종으로 비교적 좋았으나 장둥이, 남양수시는 건시제조용 품종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숙 중 자두 과실의 당함량 및 invertase활성 변화와 효소학적 성질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두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soluble sugar의 대부분은 sucrose, glucose 및 fructose이었다. 성숙 중 sucrose의 함량은 초기에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약간 감소하며 성숙말기에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성숙초기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glucose는 감소, fru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Invertase의 활성은 성숙함에 따라 증가하여 색깔의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최고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0과 였다. pH와 열안정성은 pH 5.0부근에서 안정하였으며, , 15분간에서 약 75% 잔존활성을 가졌다. 효소 활성은, 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에 크게 저해되었다.
        4,000원
        16.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lm 유로 유열처리한 라면제품을 태양광선구, 실내보존구, 항온기보존구 및 골판지상자구 등의 처리구로 나누어 20주동안 저장하고, 경시적으로 산가, 과산화물가, TBA가, 지방산조성 및 요오드가 등의 지방산화이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증착 film포장지로 밀봉하고 골판지상자에 넣어 실온 암소에서 저장하면 산가, 과산화물가, carbonyl가 및 TBA가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5개월 경과 후에도 완전한 품질을 보였다. 관능검사에 있어서의 산패취도 5개월후까지는 인정되지 않았다. 실내보존구 및 항온기 보존구의 라면은 완만한 산화이상을 보여 저장 18주에 산패취를 확인하였으나, 태양광선구의 라면은 저장 10주부터 다소 크게 산화가 일어났으며, 이때 산패취를 확인하였다. 산가, 과산화물가, carbonly가, 및 TBA가는 각 처리구 공히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태양광선구에서 그 증가이상은 현저하였다. 특히 TBA가는 태양광선구에서 저장 10주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14주에 그 정점을 이루고 다시 감소하였다. 저장초 그리고 저장 18주의 태양광선구 및 항온구의 라면 유지에 대한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항온구에선 큰 변화가 없었으나 태양광선구에선 저장초의 지방산조성에 비하여 oleic acid등 불포화지방산의 상대적인 감소이상을 볼 수 있었으며 저장 중 요오드가의 감소가 이런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4,000원
        17.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저장생리(貯藏生理)에 영향을 미치는 과피지질(果皮脂質)과 품질(品質)의 측도(測度)가 되는 색소(色素)의 변화(變化)에 대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지질(全脂質) 함량(含量)은 국광(國光)이 Fuji보다 높았으며, 두 품종(品種) 모두 저장(貯藏)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하다가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는 증가(增加)하였으며 특히 저온구(低溫區)에서 변화(變化) 폭(幅)이 현저하였다. 중성지질(中性脂質) 함량(含量)은 Fuji의 상온구(常溫區)에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였고 저온구(低溫區)에서는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로는 증가(增加)하였으며 국광(國光)은 60일(日)까지 약간씩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로는 증가(增加)하였다. 당지질(糖脂質)은 두 품종(品種) 모두 30일(日)까지 감소(減少)한 후(後) 60일(日)까지는 증가(增加)하였다가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는 감소(減少)하였는데, 저온구(低溫區)에서 변화폭(變化幅)이 더 컸다. 인지질(燐脂質)은 Fuji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이었고 국광(國光)에서는 저장전반(貯藏全般)을 통해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다.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대한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함량비(含量比)는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 Fuji는 감소(減少)하였으나 국광(國光)은 증가(增加)하였고, 당지질(糖脂質)에서 Fuji는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한 후(後)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 증가(增加)하였고 국광(國光)은 저장전반(貯藏全般)에 걸쳐 증가(增加)하였다. 인지질(燐脂質)의 경우는 두 품종(品種) 모두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SAP-L, NAP-L, SAP-N, NAP-N 순(順)으로 비율(比率)이 높았다. Chlorophyll 함량(含量)은 국광(國光)이 Fuji보다 다소 높았고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에서 감소(減少) 경향(傾向)이 가장 적었다. Carotenoid, anthocyanin의 함량변화(含量變化)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에서 증가폭(增加幅)이 가장 컸으며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는 착색(着色)이 가장 지연(遲延)되었다.
        4,200원
        18.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젓갈류 및 젓갈류외 원료(原料)가 되는 어패류(魚貝類), 식염중의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과 젓갈류의 중금속(重金屬) 함유요인(含有要因)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젓갈류중(中) 중금속(重金屬)의 평균함량(平均含量)은 Hg 0.076ppm, Pb 0.677ppm, Cd 0.112ppm, As 1.025ppm, Cu 3.540ppm, Zn 11.23ppm, Mn 2.041ppm이었으며 어패류(魚貝類)는 Hg 0.051ppm, Pb 0.425ppm, Cd 0.071ppm, As 0.632ppm, Cu 2.516ppm, Zn 8.052ppm, Mn 1.178ppm으로서 어패류(魚貝類)가 젓갈류에 비(比)해 낮은 함량(含量)이었다. 식염중의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은 Hg ND, Pb 0.05ppm, Cd 0.01ppm, As 0.02ppm, Cu 0.087ppm, Zn 0.068ppm으로 매우 낮은 함량(含量)이었다. 용기(容器)에 따른 멸치젓의 숙성시험(熟成試驗) 결과(結果) Hg, Cd는 대조구(對照區)와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Pb는 옹기 및 철제용기(鐵製容器), As는 철제용기(鐵製容器) 및 재생(再生)플라스틱 용기(容器)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철제용기(鐵製容器)에서 멸치젓을 숙성(熟成)시킨 결과(結果) Hg, Cd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重金屬)은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으며, 숙성초기(熟成初期)에 비(比)해 후기(後期)에서 그 증가폭(增加幅)이 크게 나타났다. 용기(容器) 용출시험(溶出試驗) 결과(結果) Hg, Cd는 모든 용기(容器)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나 그 외 중금속(重金屬)은 용출시간(溶出時試)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식염농도에 따른 중금속(重金屬) 용출(溶出)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4,000원
        19.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fresh-cut lettuce after a washing treatment with aqueous thyme extracts of differing concentration.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yme extract were employed: 0.001% (w/v, TEA), 0.005% (w/v, TEB), 0.01% (w/v, TEC), 0.05% (w/v, TED), while distilled water was used as a control. Measurements of O2 concentration, CO2 concentration, total aerobic bacteria, CIE L*, a*, b*, browning index, total phenolic contents and enzymatic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on day 0, 1, 3, 5, and 7 at 10 . The O2 concentration in TEB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samples during storage, and the CO2 concentration in TEB and TE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samples on day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unts between treatments (p<0.05). The samples treated with TEB and TEC showed higher L* (lightness) values, but lower browning indexes, total phenolic compound levels, and enzymatic activities (polyphenol oxidase, peroxidase) than other samples during storage. Specifically, on day 7, the browning index of Cont reached 0.25, while those in the TEB and TEC were about 0.15. The L* in Cont decreased from 69.50 to 58.92, while TEB and TEC were values of 65.61 and 63.20,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 that 0.005-0.01% thyme extract was effective as a washing treatment inhibited the browning of fresh-cut lettuce and is thus expected to be a useful natural extract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fresh-cut lettuce.
        20.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roper storage conditions and distribution conditions of actual farms at point of increasing concern about hygiene and palatabiltiy of consumers to food. In this study, three farmhouses of dried persimmons prepared using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were selected in Sangju (Korea). The dried persimmons were stored for 90 days.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with a temperature and humidity recorder under each storage condition,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performed. The average temperatures of farmhouse A, B and C were approximately -22--23℃, -19--18℃ and -25℃ respectively. The humidities of A, B and C were 62-63%, 59-60%, and 66-67%, respectively, and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farmhouse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with farmhouse B showing the most rapid increase. Free sugars increased, except for those from farmhouse C. Persimmons from farmhouse B showed the greatest changes in chewiness and hardness. The values of a* and 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ersimmons from farmhouse B, and the color difference value of farmhouse B was dramatically increased.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color preference tended to decrease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 Only farmhouse B showed decreased overall acceptability. Moreover, farmhouse B had the highest storage temperature and lowest humidity. Therefore, our results showed that storage at a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was important for manufacturing high-quality dried persimmon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