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담금용기에 따른 한국 전통 간장의 맛 성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aste Compound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t Fermantation J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31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간장의 담금용기를 달리하였을 때와 메주의 농도를 상법보다 높게 하였을 때의 질소성분 함량과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미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향기성분 패턴과의 통계적 해석을 통해 어떠한 성분이 간장의 관능 특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의 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질소성분의 함량에서, 총질소의 경우는 메주의 농도와 상관없이 유리병이 항아리보다 높았으며 메주의 농도가 높은 경우 많은 양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리병은 항아리보다 적은 양의 amino태 질소와 더 많은 양의 ammonia태 질소를 함유하고 있어 질적인 면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유리미노산의 함량은 150일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지미와 감미를 내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I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쓴맛에 관여하는 valine, phenylaalanine, leucine, isoleucine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3.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ace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아리가 유리병보다 함량이 높았으며 메주농도 1 : 4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나 1.3 : 4는 숙성기간 150일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고린내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butyric acid는 유리병 1 : 4와 항아리 1.3 : 4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병 1.3:4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모든 군에서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이 외에 valeric acid와 capric acid가 소량씩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free-amino acids and volatile organic acid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two different fermentation jars and varying Meju concentration.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glass ja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lay jar. However, the glass jar contained more nitrogen in ammonia type nitrogen and less in amino type nitrogen than clay jar, resulting in inferior quality.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 was highest on the 150th day. Among free amino acids, the concentration of glutamic acids,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and lysine, which give sweet and savory taste,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Phenylalanine, valine, leucine and isoleucine, which give bitter taste, were also present in significant quantities. Among identified volitile organic acids, acetic acid was present in the hightest concentration, and it's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jar than in the glass jar. Meju concentration 1:4 showed slow increse while 1.3:4 showed similar trends in the glass jar 1:4 and clay jar 1.3:4, and it's concentration decreased after the ripening period in all samples. In addition valerie acid and capric acid were also present in small quantities.

저자
  • 박옥진 | Park, Ok-Jin
  • 손경희 | Sohn, Kyung-Hee
  • 박현경 | Park, Hyun-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