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바라기박을 이용한 향미유의 변향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Flavor Reversion in Seasoning Oil using Sunflowerseed Me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38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해바라기박을 이용하여 직화법과 autoclaving법에 의하여 2종의 향미유를 제조하고 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직화법으로 얻은 원액의 색상, 향미 등이 상대적으로 autoclaving법으로 얻은 원액에 비하여 강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참기름에 비하며 향미유의 향미는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산가는 0.452, 0.463으로 참기름의 1.987보다 월등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Lovibond color는 3종의 시료유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들 향미유와 대조군으로 직접 제조한 참기름을 대상으로 정유성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조성 및 함량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 함량은 참기름이 1,300.6 ppm, 직화법으로 제조한 향미유(A type)가 697.8 ppm, autoclaving법으로 제조한 향미유(B type)는 648.2 ppm으로 참기름 의 약 53.65% 및 49.84% 수준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2-butanone, hexanal, methyl pyrazine 등이었으며, 참기름은 pyrazine류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향미유에서는 이와 같은 특정성분에 의존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easoning oils(SO) were manufactured by direct fire method(DFM) and autoclaving method(AM) using sunflower seed meal. The SO manufactured by DFM is stronger than that by AM for Lovibond color and flavor strength. The flavor strength of 2 kinds SOs were lower than sesame oil as a control group. But acid value of SOs were superior than sesame oil, 0.452, 0.463 and 1.987, respectively. The level of Lovibond color for 2 kinds of sample seasoning oil was similar.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otal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determined from their essential oils of sesame oil and 2 kinds sample seasoning oils. As a result, total volatile flavor contents of sesame oil was 1,300.6 ppm, and that of seasoning oil samples were 697.8 ppm, 648.2 ppm, respectively. Major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easoning oil were 2-butanone, hexanal, methyl pyrazine etc. In contrast, major volatile flavor component of sesame oil was pyrazines, but that was not a major component of 2 kinds of sample seasoning oils.

저자
  • 구본순 | Koo, Bon-Soon
  • 서미숙 | Seo, Mi-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