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광(遮光), 비닐피복(被覆)이 궁궁이(천궁(川芎))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KCI 등재

Influence of shading and polyethylen vinyl mulching on growth and yield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4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울릉도(鬱陵島)에서 생산(生産)된 일천궁(日川芎)과 봉화지방(奉化地方)에서 재배(栽培)된 토천궁(土川芎)을 공시(供試)하여 차광(遮光)과 비닐피복(被覆)이 생육(生育)과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시험(試驗)을 2개년간(個年間)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효과(遮光效果)에 대한 시험(試驗) 가. 주당분핵수(株當分核數)는 무차광(無遮光)에 비해 차광구(遮光區)가 많았으며 지상부(地上部)의 생체동엽중(生體童葉重)은 일천고(日川考)은 무차광(無遮光)에 비해 35%, 55%차광(遮光)에서 증가(增加)되었고, 토천궁(土川芎)은 차광(遮光)으로 인해 오히려 감수(減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나. 하고현상(夏枯現象)은 일천궁(日川芎)의 경우 무차광(無遮光)에 비해 55%, 75%차광(遮光)에서 경감(輕減)되었으며 토천궁(土川芎)에서는 무차광(無遮光)과 차광처리(遮光處理)간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다. 10a당(當) 건근수양(乾根收量)은 토천궁(土川芎)은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일천궁(日川芎)에서는 무차광(無遮光) 254kg에 비해 35% 차광(遮光)이 17%, 55%차광(遮光)이 19%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어 천궁(川芎) 차광재배시(遮光栽培時)의 적정차광비률(適正遮光比率)은 35~55%였다. 2. 비닐피복효과(被覆效果)에 대한 시험(試驗) 가. 출현률(出現率)은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에 비해 일천궁(日川芎)은 98%, 토천궁(土川芎)은 94%로 가장 높았으며 투명(透明)비닐은 출현기(出現期)의 고온(高溫)으로 인해 오히려 낮아졌다. 나. 지상부(地上部)의 생체경엽중(生體莖葉重)은 일천궁(日川芎)이 무피복(無被覆) 177kg/10a에 비해 피복구(被覆區)가 194~241kg으로 증가(增加)하였고, 토천궁(土川芎)도 무피복(無被覆) 310kg에 피복구(被覆區)가 456~574kg으로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였다. 다. 10a당(當) 건근수양(乾根收量)은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에 비해 일천궁(日川芎)은 32%, 토천궁(土川芎)은 30% 증수(增收)되어 가장 높은 피복(被覆)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influenced of shading and mulching with polyethylen vinyl on growth and yield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and improve the cultivation method of those medicinal plants in nor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Korea. Top fresh weight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was increased by both 35 % and 55% shading compared to the non-shadingand decreased by 75 % shading, but that of Ligusticum chuanxing Hart. Was decreased by the shading tested The summer wilt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severely occurred in non-shading but greatly reduced by 55 % or 75 %shading, whi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Ligusticum chuanxing Hort, between the shading and the non-shading. Dry root yield Cinidium officinale Makino was increased by 17 % and 19 % in 35 % and 55 % shading level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dry root yield(254kg/10a) in non-shading. However, it was decreased in Ligusticum chuaxing Hort. by the shading. Emergence ratio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was increased by black polyethylen vinyl mulch but decreased by transparent polyethylen vinyl mulch, compard to non-mulch. Polyethylen vinyl mulch increa­sed the top fresh weight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Especialy black polythylen vinyl mulch was very effective on increasing the top fresh weight. Dry root yield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was increased by 32 % and 30 %,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n-shading.

저자
  • 황형박 | Hwang, Hyung-Baek
  • 김재철 | Kim, Jae-Chul
  • 최장수 | Choi, Jang-Soo
  • 최부술 | Choi, Boo-S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