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모의 조직배양에 있어서 대량 증식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LS배지에 2, 4-D와 kinetin, NAA와 BA를 단독 또는 혼용처리에 의한 자구(子球)의 수 및 비대(肥大) 정도(程度), 부정아(不定芽)의 수(數) 및 크기, 캘러스 유기율 뿌리의 발생율, 암배양과 명배양의 차이,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배지 지지물이 자구(子球)의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편(鱗片) 조직의 배양에서 자구(子球) 형성을 NAA와 BA의 처리구보다 2, 4-D와 kinetin의 처리구에서 양호하였고, 부정아(不定芽)의 수는 2, 4-D 2 mg/L과 kinetin 1 mg/L 처리구에서 많았으며, 캘러스 형성은 kinetin 처리와는 관계없이 2, 4-D 농도가 1~2 mg/L인 단독 처리구에서, 뿌리의 발생은 NAA 1~3 mg/L의 단독처리구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2. 절조직(節組織)에서는 kinetin 5 mg/L를 첨가하였을 때 자구(子球) 형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절(節) 부분의 액아(腋芽)에서 자구(子球)가 출현하였다. 3. 암배양보다 16시간 명배양이 인편(鱗片)의 자구(子球), shoot, 캘러스 및 뿌리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4. 식물체 재분화는 2, 4-D 0. 2 mg/L과 kinetin 1 mg/L 처리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생장조절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식물체의 크기 및 뿌리의 형성이 양호하였다. 5. 배지 지지물은 phytagel이 한천(寒天)보다 shoot의 수 및 크기에서 효과적이었다.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ss propagation in vitro of Fritillaria thunbergii, bulb scale and nodes were cultured in LS medium supplemented with the combination of 2, 4-D and kinetin or NAA and BA. The number and size of bulb, the number of adventitious shoot, the ratio of callus formation, rooting, and the effects of light and dark on the culture, plant regeneration from calli, and the gelling substances were investigated. The combination of 2, 4-D and kinetin in media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edia of NAA and BA for the bulblet formation. The media supplemented with 2 mg/L 2, 4-D and 1 mg/L kinetin, 1~2 mg/L 2, 4-D without kinetin and 1~3 mg/L BAA only were effective in the adventitious shoot development. Callus formation and root formation, respectively were effective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2mg/L 2, 4-D and 1mg/L kinetin. In bulb formation, the medium with 5 mg/L kinetin was effective, and the most of bulbs were formed from the axillary bud of node part. In bulb formation, shoot growth, callus and root formation, the light culture for 16 hours per day was better than that in the dark culture. Bulb was nicely formed in the medium with 0. 2 mg/L 2, 4-D, 1 mg/L kinetin. The medium without hormone was most effective for plant regeneration. The phytagel was more effective than agar in the medium as the gelling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