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배지형(栽培地形), 작휴방법(作畦方法), 윤작(輪作)이 율무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KCI 등재

Effects of Field Topography, Ridge Shape and Crop Rotation on Growth and Yield in Coix lachyma-jobi var. ma-yuen Stap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의 율무 주산지(主産地)인 연천지역(漣川地域)에서 농가(農家)의 재배(栽培) 실태(實態)를 비속작지(非速作地)와 속작지(速作地)로 구분(區分)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로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문제점(問題點)을 도출(導出)하고 입지(立地) 환경조건(環境調件)에 알맞은 재배(栽培) 기술(技術)을 개발(開發)코자 20개 농가(農家)를 대상(對象)으로 비속작지(非速作地) 논재배(栽培),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 경사지(傾斜地), 평휴(平畦), 고휴(高畦) 재배(栽培)로 구분(區分)하여 농가(農家)의 재배실태(栽培實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稈長)에서는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에 비하여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의 순(順)으로 간장(稈長)을 현저(顯著)히 단축(短縮)시켰다. 2. 유효분얼수(有效分蘖數)에서도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에 비하여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의 순(順)으로 유효분얼수(有效分蘖數)를 감소(減少)시키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3. 잎마름병 발병율(發病率)을 보면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에서는 발병율(發病率)이 낮았으나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와 비속작(非速作) 경사지(傾斜地)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심(甚)한 발병율(發病率)을 보였다. 4. 조명나방 발병율(發病率)을 보면 비속작(非速作) 밭재배(栽培)에서는 재배유형(栽培類型)에 관계(關係)없이 낮았으나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와 속작(速作) 평탄(平坦) 밭재배(栽培)에서는 모두 발생율(發生率)이 심(甚)하였다. 5. 도복정도(倒伏程度)에서는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에서 가장 낮았으며 비속작(非速作) 밭재배지(栽培地)에서는 재배유형(栽培類型)에 관계(關係)없이 중정도(中程度)이었으나 속작평탄(速作平坦) 밭재배(栽培)시에는 가장 심하였다. 6. 종실수량(種實收量)을 보면 재배유형(栽培類型)중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밭재배(栽培)에서 가장 증수(增收)되었으며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와 비속작(非速作) 논재배(栽培) 순으로 가장 증수(增收)된 수량(收量)을 보였다.

Variations in growth and yield of adlay(Coix lachyma-jobi var. ma-yuen Stapf) was monitored in farmer's fields in Yunchon, the main producing area in Korea, where the field condition showed difference in topograyphy, crop rotation, and ridge shape. Rotation cropping increased remankably stem length, and number of effective tillers, reduced the occurrence of leaf blight and crop damage by the disease, and in addition showed positive effect to repress the occurrence of stem-borerin upland field. Stem length was greater in upland field than in paddy field and this result seemed to be related to lodging degree. The even field with crop rotation system showed the highest seed yield and followed by hillside field and paddy field resulted the lowest yield.

저자
  • 이효승 | Lee, Hyo-Sung
  • 박기준 | Park, Ki-Jun
  • 김기중 | Kim, Ki-Jung
  • 이은섭 | Lee, Eun-S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