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패모(貝母)의 재배년수(栽培年數)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KCI 등재

Effect of Cultivation Years on Growth and Yield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패모(貝母)의 적정 재배년수(栽培年敎)를 구명(究明)코자 품종(品種)을 청주(淸州) 일원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평패모(平貝母)를 수집, 공시(供試)하여 재배년수(栽培年敦)를 1년(年), 2년(年), 3년(年) 재배후(裁培後) 생육(生育) 특성(特性) 및 수량(收量) 구성(構成) 요소(要素)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 경수(莖數)은 출현후(出現後) 42일(日)에 최고(最高)에 달하였고 재배년수(栽培年數)가 연장(延長)될수록 증가폭(增加幅)이 켰다. 2. 구(球)의 비대(肥大)는 출현후(出現後) 32일(日)부터 62일(日) 사이에 급격(急激)히 진행(進行)되어 출현후(出現後) 72일(日)에 완성(完成)되었다. 3. 재배년수별(栽培年敎別) 구(球)의 건물(乾物) 비율(比率)은 27.2~30.3%로 2年 재배(栽培)에서 가장 높았다. 4. 시장(市場) 출하(出荷) 가능(可能)한 5g 이상(以上) 종구(種球)는 1년(年) 재배(栽培) 89%, 2년(年) 재배(栽培) 87%, 3년(年) 재배(栽培) 77%이었으나 단위수량(單位收量)은 1년(年) 〈 2년(年) 〈 3년(年) 재배순(栽培順)이었다. 5. 10a당(當) 수량(收量)은 1년(年) 재배(栽培)(638kg/10a)에 비하여 2년(年) 재배(栽培) 88%, 3년(年) 재배(栽培) 189% 증수(增收)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cultural years on the growth and yield of Fritillaria thunbergii. It was planted on Middle September, with high ridge between 100cm (2 lines)×interrow 9cm and N-P-K=8.1-11.2-8kg/10a of fertilizers treated basal application. Cultural years were 1, 2 and 3 years, the block of 2 or 3 years was additional same amount of fertilizers at early spring.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re as follows. Rapid bulb filling stage was begun 32 days after sprouting, and completed bulb growth needed 72 days. Dry weight/fresh ratio of bulb was ranged from 27.2~30.3%. Rate of over 5g bulb weight was 89% at 1 year, 87% at 2 years and 77% at 3 years and bulb yield were 638kg/10a at 1 year. Compared with yield at 1 year, the yield increased 88% at 2 years and 189% at 3 years.

저자
  • 박부규 | Park, Boo-Gyu
  • 박재호 | Park, Jae-Ho
  • 김민자 | Kim, Min-Ja
  • 박성규 | Park, Seong-G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