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약근(芍藥根)의 박피정도(剝皮程度)와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품질(品質) 특성(特性) KCI 등재

Effect of Peeling Degrees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작약(芍藥) 수확후(收穫後) 조제과정(調製過程)과 관련하여 양질의 약재(藥材)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박피정도(剝皮程度)에 따라 건조방법(乾燥方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은 수확후 수세(水洗)만 거치고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무박피가 박피기로 기계박피한 것에 비하여 박피노력절감 및 15%의 수량 손실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작약(芍藥) 건조시(乾燥時) 수분함량 14%에 도달하기 위한 소요시간은 무박피가 박피보다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3. 주성분(主成分) Paeoniflorin 함량은 표피에 5.11%, 피층에 3.28%로 껍질부분에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무박피가 Paeoniflorin함량이 유실없이 그대로 보존되어 박피작약보다 높았고, 건조방법 간에는 상온 음건이 가장 높았다. 4. 박피작약(剝皮芍藥)의 경우 건조근(乾燥根)의 색상은 연탄불 건조후 열풍건조가 가장 양호하여 연 탄훈증 효과가 현저하였으나 무박피작약(無剝皮芍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열풍만으로도 건조가 가능하였다.

Peony is commonly used as roots that peeled and dried. But intact root contains higher medicinal constituents than peeled root (machine peeling). The yield of roots was also higher in intact roots. Use of intact root saved the labor time for peeling and 15% of root from yield loss by peeling. Paeoniflorin content was different with each zones of root. The content of Paeoniflorin was 5.11% in epidermis and 3.28% in cortex. When peeled peony roots were dried at hot air after briquet fire drying, root color was good for commercialization. But color of intact root was good at hot air drying without briquet fire drying. The required time for drying was longer in drying of intact roots than peeled roots drying.

저자
  • 김기재 | Kim, Ki-Jae
  • 유오종 | You, Oh-Jong
  • 박준홍 | Park, Chun-Hong
  • 박소득 | Park, So-Deuk
  • 김세종 | Kim, Se-Jong
  • 최부술 | Choi, Boo-S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