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종(肥種)에 따른 목란(牧丹)의 수량(收量) 및 Paeonol 함량(含量) 비교(比較) KCI 등재

Effect of Fertilizers on Yield and Paeonol Content of Paeonia moutan Si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목란재배시(牧丹栽培時) 비종(肥種)에 따른 재배년수별 생육, 수량 구성요소, 수량 및 paeonol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공시품종은 재래종을 공시하였고, 비종(肥種)은 무비구, 퇴비 3,000kg/10a, 3요소, 계분비료 100kg/10a, 유기질비료 200kg/10a등 5처리를 두어 6년간 재배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에 비하여 경장(莖長)은 정식 후 5년차에, 경수(莖數)는 4년차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후는 경장(莖長), 경수(莖數) 모두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종간차(肥種間差)는 크지 않았다. 2. 통목란(通牧丹) 수량은 시비를 함으로서 주근장(主根長), 근수(根數)가 증가되어 무비구에 비하여 3요소구 12%. 퇴비구 18% 계분비료 22%, 유기질비료 20%가 각각 증수되었다. 3. 재배년수별 통목란(通牧丹) 수량 증가율은 3년차까지는 6년차 수확시 총수량(總收量)의 25%~34%, 4년차 8~17%, 5년차 21~53%, 6년차 4~22%로, 5년차에 수량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4. Paeonol 함량은 년중 수권시기간(收權時期間)에는 10월 수확에서 3.08%로 가장 높았으며, 비종간(肥種間)에는 계분비료 시용구에서 3.63%로 가장 높았다. 5.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paeonol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3년차 이후 년간 증가율은 높지 않았으며, 근부위별(根部位別) 함량은 하위부(下位部) 3.07%, 중위부(中位部) 2.77%, 상위부(上位部) 2.38%로 생장점 부근인 하위부(下位部)로 갈수록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tilizers on yield and paeonol content of Paeonia moutan Sims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Tested variety was a local cultivar and fertilizer treatments used were compost (3, 000kg/10a), N-P-K (10-10-10kg/10a) fertilizer, fowl dropping manure (100kg/10a), organic fertilizer (200kg/10a) and non-fertilizer. Root yield increased by 12% in N-P-K fertilizer, 18% in compost, 22% in fowl dropping manure and 26% in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compared with non-fertilizer. Increment rate of root yield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from 3 to 6 year cultivation was highest in 5 year cultivation. Paeonol content was highest of 3.08% at October harvest and 3.63% in the fowl dropping manure treatment. Paeonol content was higher at longer cultivation year, but increment rate of paeonol content per year was low from 3 year cultivation. Partial paeonol content of root increased in the order of lower part (3.07%), middle part (2.77%), and upper part (2.38%).

저자
  • 박부규 | Park, Boo-Gyu
  • 박재호 | Park, Jae-Ho
  • 김민자 | Kim, Min-Ja
  • 박성규 | Park, Seong-Gye
  • 정인명 | Chung, In-Myeong
  • 김금숙 | Kim, Geum-So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