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마의 종근부위에 따른 수량성을 밝혀 적정 종근부위를 확인하고 새로운 지주설치 방법이 단마와 장마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동부과 미부가 노두나 두부에 비하여 15일 정도 늦고, 출현율은 동부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였다. 2. 종근부위별 지상부의 생육은 두부가 가장 왕성하였고 지하부의 생육은 두부와 미부가 가장 왕성하였다. 3. 10a당 수량은 노두에 비하여 두부와 미부가 각각 16, 15% 증수를 보였으나 동부는 8%의 증수를 보였다. 4. 개화기와 영여자착생기는 모든지주설치 방법에서 비슷하였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관행지주법에서 보다 네트를 이용한 Λ, I형 지주에서 높았다. 5. 단마는 지주형에 따라 큰 수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마는 Λ, I형 지주에서 각각 11.8%의 증수를 보였다. 6. 경영비를 고려할 때 네트지주형은 I형이 적합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minal sections of tuber and stak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a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 Tuber was divided into top head, head, median and tail which were used as seminal sections of tuber. The emergence of shoots was delayed in median and tail sections by 15 days as compared with top head and head sections. Sections from head and tail exhibited yield increase as high as 16 and 15%, respectively, compared to top head sections. Although flowering and bubil setting occurred almost at the same time in all staking methods, fresh weight of stem and leaves was higher in Λ-, I-type stake supporting net than in the conventional stake. In the cultivar, 'Dan-ma', tuber yield didn't show a meaningful increase statistically by all staking methods. But Λ- and I-type stake supporting net increased the yield of the cultivar, 'Jang-ma', as high as 11 and 8%, respectively, compared to conventional stake. Also I-type stake was ideal supportor of net, considering the cost of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