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배자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KCI 등재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Rhus javanica Lin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인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들의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30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MeOH 엑스에 대한 자유라디칼소거효과 및 오배자의 분획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PPH법을 사용하여 약용식물 10종의 MeOH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오배자, 토복령과 호장근의 MeOH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 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오배자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오배자에 대하여 오배자의 MeOH 엑스로부터 각 극성별로 분획하여 얻어진 n-Hpxane, EtOAc, BuOH, H2O 엑스에 대하여 DPPH법을 이용한 라더칼 소거작용을 시험한 결과, n-Hexane, EtOAc, BuOH 엑스가 강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3. Ferric-Thiocyana법을 이용하여 오배자의 n-Hexane, EtOAc, BuOH 및 H2O엑스에 대하여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 오배자의 n-Hexane, EtOAc, 및 BuOH 엑스는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 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H2O 엑스는 tocopherol 보다는 우수하고 BHA와는 유사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30 species for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DPPH method, the extracts from Rhus javanica Linne, Smilax china Linne and Polygonum cuspidatum Siebold et Zucarinii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ecause of its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30 medicinal plan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4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n- Hexane, EtOAc, BuOH and H2O extracts) from Galla Rhois MeOH extract of Rhus javanica Linne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nd antioxidant effects on the 4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were tested by Ferric-Thiocyanate metho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n- Hexane, EtOAc and BuOH extracts were similar or even higher than that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xidants (BHA), suggesting that major fractions for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Rhus javanica Linne were the n- Hexan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저자
  • 차배천 | Cha, Bae-Cheon
  • 이승배 | Lee, Sung-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