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홍화(紅花) 종실(種實)의 볶음 조건에 따른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KCI 등재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Component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7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δ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ensory proper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safflower seed obtained by various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The contents of water soluble solids decreased in the higher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Sensory evaluation of safflower seed roasted in various condi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te, color, flavor and palatability. The safflower seed roasted at 190℃ for 20min had the best palatability. At the change of Hunter's values, L values were decreased, and a, b and δE values were increased in the higher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The content of free sugars such as sucrose and raffinose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higher roasting time of 190℃ and 210℃. During the storage period after roasting treatment, peroxide values (POV) were highly increased after eight months at the all treatment except for 150℃. Therefore, it is inadequate over eight months after roasting treatment.

저자
  • 박준홍 | Park, Jun-Hong
  • 김기재 | Kim, Ki-Jae
  • 김재철 | Kim, Jae-Chul
  • 김세종 | Kim, Se-Jong
  • 박소득 | Park, So-De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