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자생 식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 탐색 KCI 등재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7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천연물유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산화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채취한 86종의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얻은 MeOH 추출물을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밤껍질 (RC50=5.8μg)과 느릅나무 (RC50=12μg)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RC50=12μg) 과 BHA(RC50=14μg)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외 13종에서 도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중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in vivo 방법으로 항미생물 활성을 검정한 결과 굴피나무, 비목나무, 산국, 소리쟁이, 가막사리, 아왜나무에서 90% 이상의 식물병원균의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antioxidative by in vitro bioassay method from 89 Korean natural sources extracted by 100% MeOH. Antioxidant activity test was used the DPPH method. MeOH extracts from Castanea crenat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by 5.8μg (RC50) and 12.2μg (RC50), respectively, among 13 plants exhibiting the activity. The extracts from Platycarya strobilacea, Lindera erythrocarpa, Chrysanthemum boreale, Rumex crispus and Viburnum awabuki also showed over 90% antimicrobial activity, according to in vivo bioassay method.

저자
  • 최용화 | Choi, Yong-Hwa
  • 김명조 | Kim, Myong-Jo
  • 김길용 | Kim, Kil-Yong
  • 박문수 | Park, Moon-Su
  • 박영민 | Park, Young-Min
  • 임요섭 | Rim, Yo-S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