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홍화의 작물학적 특성에 의한 품종군 분류 KCI 등재

Classification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Collections by Agronomic Character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7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홍화 수집종들의 작물학적 특성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일수는 74~88일 분포로 평균 83일이었고, 80일 이하의 조숙성을 가진 수집종은 21개 이었으며, 1차분지수와 2차분지수는 각각 3.8~14.8개와 0~26.9개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다분지형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IT201434, IT202723 등 이었으며, 생육특성 중 2차 분지수의 변이가 켰다. 수량구성 요소로서 두상화수는 5.0~40.7개, 두상화당 종실수는 25~68개, 100립중 및 주당 종실중은 각각 2.9~5.4g, 3~47.5g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종실중 〉 두상화수 〉 두상화당 종실수 순으로 변이가 큰 경향이었다. 수집종들은 작물학적 특성에 따라 11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I군은 25%, II군은 33%, III군은 14%, IV군은 8%, VI군은 3%, IX군은 2%, X군은 1%, ?군은 1%가 속하였으며, III군은 모두 국내재래종 이었다. 분류된 군중 X군은 출아소요일수가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길었으나 수량 구성 요소인 두상화수, 주당 종실중 및 두상화당 종실수가 가장 우세한 군으로 분류되었다. 수량구성요소인 두상화수와 주당 종실중은 경직경, 제1차분지수, 제2차분지수, 엽수 및 엽장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safflower collections and to identify the variations which could be utilized in safflower breeding programs.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was used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afflower collections and to classify them into distint genetic groups. There were 21 early maturing collections with less than 80 days in number of days from planting to flowering. The number of primary and secondary branches ranged 3.8~14.8 and 0~26.9, respectively, and two collections, IT201434 and IT202723, were found to be high branch types. The 101 safflower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11 groups based on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us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The I, II, III, IV, IX, X and ? groups included the 25%, 33%, 14%, 8%, 2%, 1% and 1% of the collections, respectively. All the collections in the group III were Korean landraces. The collections in group X could be characterized as early emergence, late flowering and high yield components such as the number of capitula per plant, number of seeds per capitula and seed weight per plant. The number of capitula per plant and seed weight per plant, i.e., the two main yield components, had th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em diameter, number of the primary branches, number of the secondary branches, number of leaves and leaf length.

저자
  • 방경환 | Bang, Kyong-Hwan
  • 김영국 | Kim, Young-Guk
  • 박희운 | Park, Hee-Woon
  • 성낙술 | Seong, Nak-Sul
  • 조준형 | Cho, Joon-Hyeong
  • 박상일 | Park, Sang-Il
  • 김홍식 | Kim, Hong-S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