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내 삽주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 KCI 등재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in Kore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7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한국내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인 삽주 집단의 유전적 다양도와 집단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전분 전기영동으로 분석하였다. 15 대립유전자좌위당 9개 좌위에서 다형현상(60.0%)을 보였으며, 유전적 다양도는 종수준에서 0.144로 높은 반면 집단수준이 이보다 약간 낮았다. 삽주의 유전적 다양도는 대부분 집단내에 존재하였고 유사한 생활양식을 가진 다른 식물종에 비해 높았다. 그 이유로는 유성생식, 다년생, 다산 등에 기인한다. 집단간 분화는 약 13%였고 지리적 거리와 유전적 거리의 상관은 높았다(r=0.6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격리된 집단은 유효집단크기를 가지지 못하여 이형접합체의 결여가 유의성을 보여 다양도가 높은 집단의 보존이 요망된다.

The study of genetic diversity was carried out in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lthough this species has been regarded as medically important one, there is no report on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llozyme variation and genetic structure of eight Korean populations of this species. Of the 15 genetic loci surveyed, nine (60.0%) was polymorphic in at least one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was high at the species level (Hes=0.144), whereas, that of the popula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Hep=0.128). Nearly 87% of the total genetic diversity in A. japonica was apportioned within populations. The sexual reproduction, high fecundity, and perennials are proposed as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high genetic diversity. The indirect estimated of gene flow based on Gst was 1.69.

저자
  • 허홍욱 | Huh, Hong-Wook
  • 문성기 | Moon, Sung-Gi
  • 성낙술 | Seong, Nak-Sul
  • 박희운 | Park, Hee-Woon
  • 박춘근 | Park, Chun-Geon
  • 성정숙 | Sung, Jung-Sook
  • 허만규 | Huh, Man-K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