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출의 역병균 분리 및 유묘를 이용한 병원성 정정 방법의 확립 KCI 등재

Isolation of the Phytophthora Root Rot Pathogen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Phytophthora drechsleri, and Bioassay of the isolates with Seedl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8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 결과 2000년 지역적으로 재배적 환경이 다른 수원, 안동, 영주의 백출 재배 포장에서 발생한 이병주들과 토양 시료로부터 SS-배지와 Jee-배지를 이용하여 분리된 균들은 백출 역병의 원인균인 P. drechsleri로 확인되었다. 이들 분리균 들은 격막이 없는 다량의 팽윤균사를 형성하며, 10% V8A 배지에 배양한 경우 PDA배지에 배양한 경우보다 빠른 균생장 속도를 보이며 5℃이하와 40℃이상에서는 전혀 균 생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0% V8A 배지에서 균을 배양한 후 멸균수와 함께 균질화한 균사-유주자 현탁액을 접종원으로 하여 다량의 유묘에 접종한 결과 5.0%~26.4%와 23.5%~72.2%로 다양한 병반율과 이병주율이 확인되어 효과적인 병원성 검정이 이루어 졌다. 안동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된 P-A200073 균주와 수원지역의 이병주 뿌리로부터 분리된 P-9755가 병원성이 높아 각각 26.4%~63.2%와 25.1%~72.2%의 병반율과 이병주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의 경우 이병주가 발생하지 않았다. 접종 이병주의 조직으로부터 균 재 분리를 시도한 결과 대부분의 뿌리와 땅 가줄기에서 P. drechsleri가 분리되었으나 병반을 보이는 상위 줄기와 엽 조직으로부터는 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Using semi-selective (SS-) and selective (Jee-) medium, we identified the pathogens isolated from the symptomatic plants and soils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such as Suwon, Andong, and Youngju, as P. drechsleri, which is Phytophthora root rot causal agent of A. macrocephala. At 25℃, these isolates were grown faster on 10% V8A (V8 juice agar) medium than on PDA (potato dextrose agar) with hyphal swelling, but no growing was observed at below 5℃ and over 40℃. In order to identify the pathogenicity of each isolate, seedlings of A. macrocephala were inoculated with mycelium -zoospore suspended inoculum, which was prepared by culturing on 10% V8A medium and homogenizing in distilled water. By this method, wide ranges of pathogenicity were observed as follows; 5.0%~26.4% of disease severities concerning the lesion areas of the top plants and 23.5%~72.2% of disease incidences. Therefore, this was considered as a efficient method to identify the pathogenicity of P. drechsleri in large scale screening. P-A200073, isolated from soils in Andong, and P-9755, from the root of symptomatic plant of A. macrocephala in Suwon,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athogenicity to the seedlings. By these isolates, lesion areas and disease incidences of the inoculated seedlings were occurred 26.4%~63.2% and 25.1%~72.2%, respectively. However, no symptoms were observed in uninoculated control. Same pathogens were reisolated from roots and lower stems of the inoculated plants, but not from leaves.

저자
  • 조준형 | Cho, Joon-Hyeong
  • 김용욱 | Kim, Yong-Wook
  • 방경환 | Bang, Kyong-Hwan
  • 박춘근 | Park, Chun-Gun
  • 성낙술 | Seong, Nak-S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