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옻나무속 6종에 대하여 분자식물학적 방법으로 계통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nrDNA의 ITS 구간과 cpDNA rbcL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분석한 결과 ITS 1의 길이는 246~253 bp이었고, ITS 2는 234~244 bp이었다. ITS 1의 길이는 Rhus sylvestris와 R. succedanea에서 246 bp로 가장 작았으며, R. verniciflua에서 253 bp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ITS 2의 길이는 R. verniciflua가 234 bp로 가장 짧았으며, R. trichocarpr가 244 bp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이들 분류군의 G+C Content는 ITS 1에서는 58.0~68.13%의 범위를 나타냈고, ITS 2에서는 59.75~68.46%로 나타나 두 구간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ITS 1에서의 G+C content는 R. sylvestris가 58.0%로 가장 낮았으며, 가장 높은 값은 R. ambigua가 68.13%로 확인되었다. ITS 2에서는 외군인 Cotinus coggygria가 59.75%로 가장 낮았으며, R. ambigua가 68.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옻나무 속에서 ITS 염기서열은 일반적으로 피자식물이 갖는 G+C content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rbcL의 길이는 1,428 bp로 모든 종에서 동일하였다. 또한 rbcL의 G+C content는 43.56%~43.77%로 나타나 종간에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rbcL gene은 옻나무속의 종간 계통유연관계를 해석하는데 유용하지 않았으며, ITS 1 구간의 염기서열 변이는 향후 옻나무속을 분류할 때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분류 marker로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Korean Rhus species. Sequences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of nuclear ribosomal DNA and rbcL gene of chloroplast DNA were determined. Cotinus coggygria was selected as outgroup because it is closest allied with Rhus in Anacardiaceae. Also, ingroup was limited as six Korean Rhus species. ITS 1 sequences in six species of Rhus and one species of Cotinus ranged from 246 to 253 bp and ITS 2 sequences from 234 to 244 bp. Concerning the G+C content of the studied taxa, ITS 1 sequences ranged from 58.0 to 68.13% and ITS 2 from 59.75 to 68.46%. On the other hand, rbcL sequences were same size in the all species examined by 1,428 bp. G+C contents of rbcL sequences were ranged from 43.56 to 43.77% which means there are nearly no different from interspecies each other. Phylogenetic tree strongly supports the colse relationships between R. succedanea and R. sylvestris. Rhus javanica and Cotinus coggygria were also closely allied with each other in ITS and rbcL trees. Therefore, R. javanica was regarded as most primitive species among the Korean Rhus species. ITS 1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was suggested as very useful taxonomical marker for genus Rh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