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KCI 등재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0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was done to obtain their morphological traits to analyse genetic diversity and intraspecific relationship of 47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province. Plant height was the highest in P. thunbergii but the shortest in P. involucratum. Growth habit and its colors were classified to 3 groups, respectively. Leaf shapes were sorted to 5 groups including lanceolate with petiole or none, petiole colors were done to 3 groups including a species having dark green leaves of purple colored margin. Flower shapes were divided as 3 groups of urceolate, tubular and gourd shapes, and its colors were white, greenish white and light green, especially light green in a species with gourd shape. Filament shapes were two types of flatness and cylinder. Peduncle color and bract attached below it showed 4 types, respectively. Fruit shapes were sorted to 3 groups. In 100-fruit weights P. ordoratum var. pluriflorum showed the greatest but P. involucratum did the least. Two species were completely resistant to leaf brightness although 7 species showed less than 7 % infection rates. Rhizome yields ranged from 4.4 g to 94.8 g per plant, showing their significant variation. I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9 major characters, rhizome yield per pla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nt height, stalk diameter, leaf number, leaf length and width, and rhizome diameter but leaf brightness was negatively done with plant height, stalk diameter, leaf number and length, 100-seed weight, rhizome yield per plan and rhizome diameter.

저자
  • 심재석 | Shim, Jae-Suk
  • 박정민 | Park, Jeong-Min
  • 전병삼 | Jeon, Byong-Sam
  • 강진호 | Kang, Ji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