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갯방풍의 지리적 분포와 자생지 특성 KCI 등재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0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농업 자원식물의 남한 내 분포현황 및 유전자원 보존대책 확립의 일환으로 갯방풍의 자생지 생태 및 환경특성을 해안별로 조사한 바 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갯방풍의 분포는 갯방풍은 내륙해안과 도서지역의 해안 등 거의 전 지역의 대부분 사토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자생지는 만조선과 28.2m 거리, 해발고도 2.7m의 사구에 자생했으며, 해안별로는 동해안의 자생지가 서남해안에 비해 매우 넓고 밀도와 피도가 높았다. 2. 자생지의 혼생식물은 35여 종이었으며, 그 중 갯씀바귀, 좀보리사초, 통보리사초, 갯그령, 갯쇠보리, 띠 등의 밀도와 피도가 높았다. 3. 자생지의 연평균강수량 및 온도는 전체 평균이 각각 1250.3 mm, 12.5℃이었으며, 해안지역별로 보면 남해안이 연평균강수량 1427.3mm, 14.3℃로서 동해안의 1111.1 mm, 11.3℃보다 강수량이 많고 온도도 높은 편이었다. 4. 자생지의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가 전체평균 7.9로서 약 알카리를 띠고 있었으며, 유기물함량은 0.23%로 미약하였다. P2O5와 Ca 함량은 비교적 많았고, K은 극소량이었으며 Na이 상대적으로 적어 생육과 염분과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해안별로는 동해안이 서남해안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feature of Glehnia littoralis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plan for important natural agro-plant resources in South Korea. Habitat of Glehnia littoralis was generally found 28.2 m from high tide water line and 2.7 m above sea level at sand dunes near three seashore areas. Density and coverage of Glehnia littoralis were higher in east seashore among three seashore areas. The number of plant species growing with Glehnia littoralis in natural habitat was found 35 species. Among 35 species Ixeris repens Carex pumila,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Ischaemum anthephoroide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were shown higher density and coverage. Average year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f habitat for Glehnia littoralis were 1250.3 mm and 12.5℃, respectively. Among three seashores, th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f south seashore were much more and higher than those of other two seashores. Soil characteristics of habitat for Glehnia littoralis were that average pH was 7.9 and organic matter was 0.23%. Content P2O5 and Ca were relatively higher, but the level K and Na were very low.

저자
  • 김성민 | Kim, Seong-Min
  • 신동일 | Shin, Dong-Il
  • 송홍선 | Song, Hong-Seon
  • 김선규 | Kim, Sun-Kyu
  • 윤성탁 | Yoon, Seong-T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