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큰돌고래의 휘슬음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Bottlenose Dolphin(Tursiops truncatus) Whist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4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고래류의 어업공해를 최소화하고 환경친화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음향 유인/경고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우리 나라 연근해에 자주 출현하는 큰돌고래의 휘슬음을 서울대공원 돌고래 쇼장에서 측정,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족관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큰돌고래의 평상시 휘슬음의 중심 주파수대와 스팩트럼 레벨은 각각 6~10KHz 와 85㏈을 나타내었고, 이들을 서로 격리시킨 경우, 중심 주파수는 6.7KHz대와 21.3KHz대 두 개의 고조파를 나타내었으며, 스팩트럼 레벨은 각각 110㏈와 94㏈를 나타내어 평상시보다는 불안정한 휘슬음의 주파수대와 다른 형태를 나타내었다. 2. 평상시의 휘슬음 주파수 변동폭은 평균 3.86KHz이었고, 지속시간은 평균 0.08sec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격리시킨 경우는 평상시와는 달리 그 변동폭은 평균 l4.06KHz이었고, 지속시간은 평균 0.l9sec를 나타내어 평상시와 비교하여 주파수 변동폭이 10.20KHz 높아지고 지속시간은 0.11sec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Mann-Whitney 검정을 통하여 휘슬음의 주파수 변동폭과 지속시간 모두 평상시와 1마리를 격리시켰을 때는 상이함에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돌고래 쇼장에서의 휘슬음의 패턴 모델을 6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고, 평상시에는 5~10KHz 범위의 주파수로 서서히 상승하는 형이 거의 대부분이었으나, 격리시킨 경우에는 5~20KHz의 폭 넓은 주파수대에 걸쳐 여러 가지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주파수가 상승한 후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의 패턴이 많이 관찰되었다. 한편, 휘슬음은 종간 및 생활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서로 다른 것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우리 나라 연안에는 큰돌고래, 참돌고래, 낫돌고래, 상괭이 등 비교적 많은 돌고래류가 자주 출현하고 있어 이들 종들에 대한 위협음 및 유인음에 대한 대역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종들에 대한 수중음향은 물론 행동도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더욱이 폭 넓은 현장실험과 데이터 축적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was describ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whistle to develop a warning and attracting acoustic system which can be made friends woith environment and minimized to the fishing pollution from Cetaceans. The experiment for the acoustics of bottlenose dolphin whistle was carried out in dolphin performance hall at Seoul Grand Park during 18th~19th April, 2002. The frequency and the spectrum level of whistle a same pool were revealed 6~10KHz and 85㏈ but those revealed two harmonic waves a 6.7KHz and 21.3KHz for the frequency and 110㏈ and 94㏈ for the spectrum level, respectively, when a dolphin isolated from others. The range of frequency change of whistle was 3.86KHz and continuous time was 0.08 sec. The range of frequency change 10.20 KHz higher as 14.06 KHz and continuous time was 0.11sec longer as 0.19sec when a dolphin isolated from others. By the Mann-Whitney test for the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range of frequency change and continuous time between normal condition and when a dolphin was isolated from others. The pattern of whistle at the dolphin performance hall was five types and the frequency was getting increased slowly in the range of 5~10KHz at normal condition but there were pattern change of 5~20KHz at the isolated condi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se experiments would be 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acoustic system

저자
  • 신형일
  • 서두옥
  • 이대재
  • 황두진
  • 배문기
  • 이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