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마늘의 고소득 작물화를 위한 기능성 물질 분석 KCI 등재

Chemical Analysis o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mong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for a High Income Cro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2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마늘을 산지별로, 그리고 부위별로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하고, 휘발성 유황화합물과 사포닌의 함량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그 이용목적에 따라 산지별로, 부위별로 각각 품질평가는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아미노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식물의 지하부를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를 이용하는 것 보다 훨씬 좋을 것으로 평가되었고 산지별로는 울릉도산의 지하부가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지별로 유리아미노산이나 총아미노산의 양이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산 중에서도 arginine, glutamine 및 asparagine 등은 다른 아미노산종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양을 함유함을 밝혔다. 그리고, 유황화합물의 경우에는 내륙종인 오대산산이나 지리산산의 것이 해양적 지리조건의 울릉도산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양을 함유하였음을 밝혔다. 내륙종은 지상부에 이들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였으나 울릉도산은 지하부가 더 많이 이들을 함유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포닌 성분의 경우에는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훨씬 많은 양을 함유하였고 그 순서는 울릉도산, 지리산산, 오대산산이었다. 오대산산은 다른 두 산지의 것보다 현저히 적은 양을 함유하였다. 산마늘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의 양은 사포닌의 함량을 잘 방영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이 분획에 저자 등이 구명한 allivicin 등 flavonol 배당체 등의 함유량의 차이에 일부 기인할 것으로 추측된다.

When the contents of the constituents such as total amino acids, free amino acids, volatile organosulfuric compounds and steroidal saponins among three origins in the aerial-and underground parts of Allium victorialis, it wa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regarding to quality evaluation could be diffe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tilization. For the utilization of amino acids, underground parts of this plant was shown to be better than aerial part. In addition, Ulung island origin was found to contain the highest amino acids content among the three origins though the difference was small. The amino acids showing remarkably high contents were appeared to be arginine, glutamine and asparagine. In the volatile organosulfuric compounds, the origina of Mt. Odae and Mt. Chiri positioned in inland showed higher contents than Ulung island origin geographically positioned in the ocean. Inland origins were shown to contain higher organosulfurie component contents in aerial parts than in underground parts while those of Ulung island origin were higher in underground parts than aerial parts. Underground parts, regarding to saponin constituents, showed higher contents than aerial parts. Underground parts of Ulung island origin were shown to contain more saponins than those of other two origins and the sequence of the contents was in the order of Ulung island>Mt. Chiri>Mt Odac.

저자
  • 박희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