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내재적 메커니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지각된 따뜻 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관념 내용 모델을 적용하여 설 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서비스 기업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 집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서비스 기업 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소비자의 지각된 따뜻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 간 대부 분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지각된 따뜻 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적용하여 설 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관련 연구와 서비스 기업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fundamentally transformed modes of visual expression and mechanisms of emotional communication, redefining the identity and performative function of fashion illustration, particularly within short-form content. This study thus aims to analyze the emotional performance strategies used in short-form video fashion illustration content and to interpret these strategies through an integrated framework combining performative image and emotional design theories. As a methodology, five actively operating English-language YouTube channels were selected, each recognized for producing fashion illustration content in short-form videos and holding a subscriber base of over 50,000.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short-form videos from these channels, examining how they engage viewers emotionally across Norman’s three levels: visceral, behavioral, and reflective. The results revealed that short-form video fashion illustration content employs multi-layered emotional strategies: immediate aesthetic stimulation through visceral visual impact, behavioral immersion via sharing of the drawing process, and reflective meaning-making through storytelling and socio-cultural messages. Notably, these strategies extend beyond the mere display of images, positioning the illustration as an active agent that performs and elicits sensory, emotional, and social engagement from audi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vergence of performative image theory and emotional design offers a comprehensive lens to decode how fashion illustration short-form videos function both as visual art and as performative acts. These findings contribut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future digital fashion content creation and research in the visual arts, highlighting how emotional experiences are strategically constructed in contemporary digital media contexts.
본 연구는 고흡수성 수지(SAP) 기반 토양보습제가 보수력이 약한 토양에서 식물이 실제로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량 (plant-available water)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화강암 풍화토(마사토)와 모래 토양에 각각 테라코템과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수지를 상이한 첨가량으로 처리한 후 유효수분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SAP 처리구는 대조구 대비 유의미한 유효수분량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테라코템 1.0g 처리구와 PAM 수지 0.2g 처리구에 서 유효수분 확보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모래 토양의 경우 최대 110.1%의 유효수분량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과도한 SAP 첨가는 토양 구조 불안정 및 팽윤-수축 반복과 같은 잠재적 물리적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일부 SAP는 수분을 식물 흡수가 어려운 수분퍼텐셜 범위(pF > 4.2)에 고정함으로써 총수분량 증가와 유효수분량 확보 간 불일치를 초래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SAP의 효과가 토성, 첨가량, 수분 퍼텐셜, 화학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결정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SAP는 도시 수목의 수분 스트레스 경감 및 생육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평가되나,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토양 환경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적용 전략 수립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휴게음식점에서 판매되는 디저트류 를 대상으로 타르색소의 함량을 조사하고 위해성을 평가 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2024년 3월부터 10월까 지 수거한 마카롱, 머랭쿠키, 케이크, 음료, 캔디 등 총 100 건의 시료였으며, 국내 허용 타르색소 9종을 UPLC-PDA 로 정량 분석하였다. 전체 평균 검출률은 59.0%였으며, 마 카롱(96.2%)과 케이크(76.5%)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인 반 면, 캔디류에서는 타르색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평균 함량 은 머랭쿠키(56.05 mg/kg)와 마카롱(46.99 mg/kg)에서 높 게 나타났고, B1과 R40 색소가 가장 빈번히 검출되었다. 총 39건의 시료에서 2종에서 5종의 색소가 병용 검출되었 으며, 특히 머랭쿠키에서는 병용 기준을 초과한 사례가 확 인되었다. 기준 초과한 품목을 포함한 위해도 평가 결과 0.00-17.72%의 수준으로 나타나 안전한 범위 내에 있었다. 다만, 식품섭취량 자료에 마카롱, 머랭쿠키 등 특정 품목 의 세부 섭취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이와 유사한 제품 군(snack)의 평균 섭취량을 대체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평가 결과는 실제 섭취 수준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 며, 일부 섭취량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 다. 그러나 색소 병용 사용의 빈도와 기준 초과 사례는 자 가품질검사 의무가 없는 휴게음식점에서의 안전성 관리 취 약성을 반영하며, 향후 이들 업소를 대상으로 한 타르색소 사용 기준 교육 및 체계적인 모니터링 등 안전 관리가 필 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domestic soybean cultivars were extracted using water, 70% ethanol, and 100% ethanol. The contents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extracts were measured. For the water extracts, the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aewon cultivar compared to the others. Ethanol extracts contained lower levels than the water extracts, and, unlike the water extra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ltivars. The flavonoid content in the Jinpung cultivar was the highest among the water extracts, and this content was greater in the water extract than in the ethanol extract. In terms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aewon and Taekwang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in the water extracts. The Jinpung cultivar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70% ethanol extract,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Taekwang than in the other cultivars. In the 70% ethanol extract, Taekwang demonstrated high antioxidant activity,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extract. A correlation analysis of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oybean cultivars revealed the highest r value of 0.9326 between the contents of flavonoid compounds and polyphenol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