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 도서지역에서 황칠나무의 파종기에 따른 주요 형질변이 KCI 등재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in Southern Area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4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우리나라 황칠나무 주요 자생지인 남부도서지역의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여 자생지 보호와 농가의 재배면적 확대 그리고 관상가치가 높은 실생 파종묘의 재배법을 체계적으로 확립 하고자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황칠나무의 종자를 포트에 파종할 경우 3월 중순 파종이 출현율이 높고,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기로 판단된다. 2. 노지에 황칠나무 종자를 직파할 경우 4월 상순 파종이 종자의 출현율이 높고, 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기로 생각된다. 3. 황칠나무의 적정 파종방법으로는 포트파종이 노지 파종보다 발아율이 높고, 묘목의 수고와 경직경이 커서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방법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sowing dates and method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in southern area of Korea. The number of days from sowing to emergence was recognized liner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wing days. Dendropanax morbifera was sowed at seven different dates(from Dec.20 to Feb.20 at 30 days interval, from Mar, 1 to Apr. 15 at 15 days interval) in pot culture. In sowing date at Mar. 15, germination rate and early growth were good in pot. Dendropanax morbifera was sowed at five different dates(from Dec.20 to Apr.15 at 15 days interval) in field culture. In sowing date at Apr.15, germination rate and early growth were good in field culture.

저자
  • 최성규
  • 윤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