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의 외부형태와 체세포 염색체수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KCI 등재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Parasenecio (Compositae) of Korea by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6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한국산 박쥐나물속(Parasenecio)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체세포 염색재수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인 초장, 경생엽수, 잎의 모양, 엽병 형태, 총포편수, 소화 수, 암술대의 털 존재 유무, 소화의 가는 통부와 법은 통부의 비, 열매의 크기 등이 종을 식별하는 형질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형질을 기초로 할 때,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a var. auriculata), 나래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민박쥐나물(P. hastata subsp. orientalis), 참나래박쥐(P. koraiensis), 병풍쌈(P. firmus), 어리병풍(P. pseudotaimingasa)의 6분류 군에 대한 국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게박쥐나물(P. adenastylodes)과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matsumurana)의 분류학적 위치 및 국내 분포 여부에 대하여 추후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병풍함과 어리평풍의 체세포 염색제수는 모두 2n=60이었으며, 이중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은 일본산과 중국산의 염색계수와 일치하였으며, 병풍쌈과 어리병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Korean Parasenecio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ir taxonomic values.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length of whole plants, the numbers of cauline leaves, the shapes of leaf and petioles, the numbers of involucral bracts, floret numbers per head, presence of trichomes on the style, ratio between wide part and narrow part of floret and the size of achene were found to be a good characters for delimiting each taxa. Based upon these characters, six taxa, Parasenecio auriculala var. auriculata, 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P. hastata subsp. orientalis, P. koraiensis, P. firmus, P. pseudotaimingasa, were recognized about their distribution in Korea, but 2 taxa, P. adenostyloides, P. auriculata var. matsumurana, were needed to be studied their taxonomic position and distribution in Korea.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six taxa, P. adenostyloides, P. auriculata, 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P. hastata subsp. orientalis, P. firmus, P. pseudotaimingasa were 2n=60 and those of P. firmus and P. pseudotaimingasa were reported first in this study.

저자
  • 남기흠 | Nam, Gi-Hum
  • 박명순 | Park, Myung-Soon
  • 정형진 | Jeong, Hyung-Jin
  • 정규영 | Chung, Gyu-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