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동산 내 형성되어 있는 소하천 주변의 식생정보와 식물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자연형 하천복원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과 더불어 복원용 소재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지역의 식물상은 33과 84속 81종 14변종 등 총 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한 귀화식물은 오리새,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취명아주, 토끼풀, 수박풀, 큰달맞이꽃,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기생초, 서양민들레, 미국가막사리, 코스모스 등 총 15분류군이었다. 식생군락은 달뿌리풀이 전체 우점종으로 판명되었고 부 우점종이 갯버들, 갈풀, 미국가막사리, 고마리로 관찰되었다. 하천복원을 위해서는 생물종다양성과 서식처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달뿌리풀, 갯버들, 고마리, 큰물칭개나물 등의 다양한 소재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natural restoration plan of river by objective analyz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round stream in Mt. Midong and to develop the materials for restoration.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95 taxa; 33 families, 84 genera, 81 species and 14 varietie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5 taxa; Dactylis glmerata, Panicum dichotomiflorum, Rumex crispus, Chenopodium glaucum, Trifolium repens, Hibiscus trionum, Oenothera lamarckiana,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Aster pilosus,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Coreopsis tinctoria, Taraxacum officinale, Bidens frondosa and Cosmos bipinnatus. The major dominant species was Phragmites japonica in all communites and semi dominant species were Salix gracilistyla, Phalaris arundinacea, Bidens frondosa and Persicaria thunbergii. To restore the river, we must consider the biddiversity, habitats and so forth, and use the plant materials like Phragmites japonica, Salix gracilistyla, Persicaria thunbergii and Veronica anagallis-aquat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