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외 비식용부위(꼭지, 줄기.잎, 씨)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KCI 등재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Non-Edible Parts (stalk, stem.leaf, seed) from Oriental Mel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0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참외의 비식용부위인 씨, 꼭지, 줄기 잎 부위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DPPH, ABTS, FRAP, SOD 등 다양한 항산화 실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외 비식용부위의 항산화 활성은 참외 꼭지부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페놀 성분 또한 꼭지 생체 100 g당 143.4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참외의 비식용부위 중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외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다양한 생리활성 및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non-edible parts of oriental mel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six samples including peel, placenta, stem leaf, flesh and seed were determine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in vitro DPPH, ABTS, FRAP, and SOD assay. Among non-edible parts of oriental melon, stalk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its antioxidant potential increased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 were also higher than othe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 were analyzed and showe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lk of oriental melon may have potential as a good source for functional material.

저자
  • 강영화 | Kang, Young-Hwa
  • 김혜숙 | Kim, Hye-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