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설재배 오이의 품종별, 생육단계별 항산화능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2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시설오이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4 품종을 선발하여 생육단계별로 DPPH radical 소거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ABTS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죽청장 품종이 모든 생육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들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생육단계별로는 수확기에 못 미친 미성숙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가 1.2일 경우 모든 품종과 생육단계에서 40% 이상 분해시켰으며, 특히 장형낙합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H 4.0에서는 추출물 모두에서 3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pH 6.0에서는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ABTS 소거활성은 장죽청장과 늘푸른 청장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생육단계별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ABTS 소거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OD 활성은 모든 품종과 전 생육단계에서 9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품종 간에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AT 활성은 전체적으로 장죽청장과 늘푸른청장 품종이 그리고 APX 활성은 늘푸른청장, 장형낙합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POX 활성은 생육단계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여 수확기에 이를수록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 오이의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ucumber grown greenhouse. The analytic method of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estimat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nitrite scavenging ability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angjukcheongjang was the highest in most of the growth stage.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at pH 1.2 was more than 40% in all cultivars and growth stages.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Jangjukcheongjang and Nulpureuncheongjang showed relatively little higher than Janghyeongnakhap and Sinjoeunbaekdadagi. The SOD activity showed higher activity than 95% in all cultivars and growth stages. The activity of CAT was highest in the Nulpureuncheongjang of 2 (12~16cm) growth stage, and the APX activity of Nulpureuncheongjang and Janghyeongnakhap showed a relatively high activity. The POX activity showed distinctly different trends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and that is, the activity at harvest stag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cumber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that in the future, the availability of cucumber will be increase in the field of high-value cosmetic and food products.

저자
  • 양승렬 | Yang, Seung Yul
  • 김홍기 | Kim, Hong Gi
  • 이숙재 | Lee, Suk Jae
  • 차원미 | Cha, Won Mi
  • 안철현 | Ahn, Chul Hyun
  • 부희옥 | Boo, Hee 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