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의 항만 물류집중화에 관한 연구 - 상하이항과 장강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Harbor Logistics in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0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중국은 '중국의 아시아 비즈니스 중심화'라는 전략을 수립하고 항만 및 물류분야 인프라 구축 및 집중 개발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 중점적인 개발 대상은 상하이항과 장강유역이다. 이러한 중국정부의 상하이항과 장강유역의 개발이 동북아시아의 물류집중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고, 또한 중화권의 해운항만이 더욱 활성화되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응전략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중화물류권의 성장에 따른 우리선사들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네트워크, 둘째, 장강 유역에서 화물 운송 서비스사업에 나서기 위해서는 중국 기업과 합작 투자, 셋째, 상하이항과 장강 개발에 따른 환황해권 해상교통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China has been the hub of business in Asia' and has developed infra-system and development policy on harbor and logistics. Investment on development of Sanghai port and fang river has been increasing. This development has put importance on logistics in East Asia Additionally, port surrounding of China has been activated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suggest three measures. First, shipping corporation of Korea will provide different services and network according to the growth of China logistics. Secondly, Korea is to invest with Chinese companies around fang river to freight service industry. Thirdly, it is to construct Yellow sea Rim transport network by Sanghai port and fang river development.

저자
  • 이종원 | Lee, Jong-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