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KCI 등재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9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과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구조 변화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91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 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총 32km의 132개 조사지정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산로상태 중 해발고, 등산로폭 및 최대깊이는 건전한 지점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능선부 등산로에서는 훼손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인위적인 복구공법이 필요한 환경피해도 4등급 이상인 면적이 약 34,000m2에 달하고, 야영장에서도 이용압력과 훼손현상은 증가되고 있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상층수관에 있어서 우점수종은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화엄사등산로에서는 개서어나무→졸참나무, 서어나무→신갈나무, 서어나무로, 피아골등산로에서 졸참나무→신갈나무로 바뀌고 있었으며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바위말발도리, 병꽃나무가 화엄사등산로에서,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철쭉이 피아골등산로에서 높은 상대우점치를 나타내었다.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were studied in Chirisan National Park in 1991. The entire width, bare width and maximum depth of trail as the trail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more heavily used trail. Trail conditions, especially altitude, entire width and maximum depth of deteriorated points which were surveyed at the total of 8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n-deteriorated points. On the ridge trail, the damaged are more severe than Class 4 reaches about 34,000m2 and use impacts on campsite and deterioration were also accelerated. The dominant trees of the upper layer in trail edge vegetation are changed from Carpinus tschonoskii to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to Quercus mongolica, Carpins laxiflora at Hwaeomsa trail, and from Quercus serrata to Quercus mongolica at Piagol trail. Also Lespedoza maximowiczii, Symplocos chinensis, Deutzia prunifolia, Weigela Subsessilis appear as the dominant lower species at Hwaeomsa trail, L. maximowiczii, S. chinensis, Stephanandra inci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Piagol trail.

저자
  • 권태호
  • 오구균
  • 권순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