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식처 분획화에 따른 식물군집의 크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ed Habit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0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서식처 분획화에 따른 식물군집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1997년 3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상주시, 점촌시. 경기도 안성시. 평택시, 여주시, 양평시, 충청남도 논산시. 전라북도 익산시 등 31개의 조사지역에 118개의 조사구를 조사하였다. 상관관계분석결과 면적과 목본식물종수가 0.7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을 서식처 분획화에 적용하기 위해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식물종수, 목본식물개체수, 초본식물종수, 초본식물개체수 모두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71%였다. 종수군과 개체수군간의 정준상관분석결과 한 개의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8.76%이며.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와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및 도서생물지리학의 제반 이론을 응용한 식물군집의 크기는 400m2, 종수는 30종, 개체수는 4,000개로서. 이때부터 종, 개체수의 기울기 증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시화. 산업화로 야기되는 고립된 생태계의 보전문제나 생물서식공간조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이며 서식지 분획화가 일어나고 있는 모든 지역에 관리 방향과 보전대책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1997 to decide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ary habitats. The thirty one sites and one hundred and eighteen plots were plotted in the areas including Yangpyong, Yoju, Pyongtaek and Ansong in Kyonggi-do, Chomchon and Sangju in Kyongsangbuk-do, Nonsan in Chungchongnam-do and Iksan in Chollapuk-do. The area and number of woody species by correlation analysis were recorded as the highest value as 0.716. In order to apply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o the fragmented habitats in Korea, the four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regression model. The four variables such as number of woody species, number of woody individuals,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and number of herbaceous individuals were recorded as significant with area at the level of 0.05 and R square was 0.71. The one function was selected between number of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s from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 square was 0.8876. Both canonical function and squared canonical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1.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not increased from the condition that was the size of plant community of 400m2, 30 for number of species and 4,000 for number of individuals. Th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management, especially the fragmented ecosystems or the biotop creation in the landscaping.

저자
  • 신현탁
  • 김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