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포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과 군집 특성 KCI 등재

Bio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Upo Wetland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3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조사는 경남 우포습지 일대의 우포(4개 지점), 목포(2개 지점). 사지포(1개 지점), 쪽지벌(1개 지점), 여벌(1개 지점), 그리고 토평천 본류(2개 지점)를 대상으로 2002년 10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사계절에 걸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저서무척추동물)의 다양성과 계절적 군집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의 결과 우포습지는 연안대가 잘 발달하여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양호한 환경을 지니고 있었지만, 홍수시 범람으로 인한 잦은 연안대의 교란이 저서무척추동물의 생존과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저서무척추동물은 총 3문 7강 15목 59과 105속 135종으로 밝혀져서 우포습지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습지 가운데 가장 높은 저서무척추동물 다양성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 절지동물인 수서곤충류가 103종(파리목 27종, 잠자리목 24종, 딱정벌레목 19종 노린재목 16종, 하루살이목 9종, 날도래목 7종, 톡토기목 1종)으로 가장 많았고, 갑각류가 2종, 연체동물이 19종(복족류 12종, 이매패류 7종), 그리고 환형동물이 11종(빈모류 1종, 거머리류 10종) 채집되었다. 조사지점별 저서무척추동물상은 사지포(St.G)와 쪽지벌(St.H)에서 각각 54종과 53종이 출현하여 가장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고, 그 외의 거의 모든 지점도 40종이 넘게 출현하여 비교적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다. 정량채집(0.5m×2m) 자료에 의한 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의 개체수 구성비는 연체동물(5.3%), 환형동물(3.5%), 갑각류(3.2%)를 제외한 거의 모두가 수서곤충류(88.0%)로서 특히 파리목(61.0%)에 속하는 깔따구과의 개체수 현존량이 높았다. 개체수에 따른 우점종의 경우 정수역에서는 깔따구류, 잠자리류, 노린재류, 딱정벌레류, 갑각류, 복족류 등 우점종의 종류가 다양하였고, 유수역의 경우 깔따구류와 꼬마하루살이류가 대체로 우점하였다. 그러나 생체량을 고려할 때 복족류(논우렁이류)가 대체로 우점하는 저서무척추동물이었다. 우점도지수는 가을 0.22~0.51(평균±표준편차 0.42±0.09), 겨울 0.31~0.96(0.62±0.23). 여름 0.30~0.89(0.57±0.18)였고, 다양도지수는 가을 3.50~4.26(3.80±0.24), 겨울 1.55~4.50(3 10±1.01), 여름 1.35~3.77(2.55±0.69)였다. 홍수 후의 조사에서 노린재류, 딱정벌레류, 복족류 등 이동성이 높거나 완전히 수중생활에 적응한 종류의 회복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지점 중에서 우포와 사지포의 평균 다양도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서 그 지역이 양호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처를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Biodiversity and seasonal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studied from Upo wetlands in Gyeongsangnam-do, Korea, comprising Upo (4 sites), Mokpo (2 sites), Sajipo (1 site), Jjokjibeol (1 site), Yeobeol (1 site), and Topyeongcheon (2 sites) areas from October 2002 to August 2003. As a result, it was known that Upo wetlands retained relatively well-preserved littoral zones which may provide good habitat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however, frequent disturbances of littoral zones caused by flood were the major factor affecting on the survival and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areas.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35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10 genera, 59 families, 16 orders, 7 classes, and 3 phyla were collected those of which are the highest degree of diversity of the taxa ever known in Korean wetlands: aquatic insects 103 spp. (Diptera 27 spp., Odonata 24 spp., Coleoptera 19 spp., Hemiptera 16 spp., Ephemeroptera 9 spp., Trichoptera 7 spp., and Collembola 1 sp.), Crustacea 2 spp., Mollusca 19 spp. (Gastropoda 12 spp. and Bivalvia 7 spp.), and Annelids 11 spp. (Oligocaeta 1 sp. and Hirudinea 10 spp.). Sajipo (St.G) and Jjokjibeol (St.H) areas yielded relatively larger numbers of species, 54 spp. and 53 spp., respectively, while more than 40 species occurred at most other sites. Based on quantitative sampling (0.5m×2m), aquatic insects (88.0%), particularly chironomids in Diptera (61.0%), occupied major proportion of the total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hile Mollusca (5.3%), Annelida (3.5%), and Crustacea (3.2%) occupied minor proportions. In standing water areas, diverse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uch as chironomids, demselflies, aquatic bugs, aquatic beetles, crustaceans, and gastropods were dominant in terms of individual number; in the running water areas, on the other hand, chironomids and baetid mayflies were dominant. However, gastropods, i.e. viviparids, were the dominant group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most study areas in terms of biomass. Dominance indices were 0.22-0.51 (mean±sd 0.42±0.09) in autumn, 0.31-0.96 (0.02±0.23) in winter, and 0.30-0.89 (0.57±0.18) in summer; diversity indices were 3.50-4.26 (3.80±0.24) in autumn,1.55-4.50 (3.10±1.01) in winter, and 1.35-3.77 (2.55±0.09) in summer. Highly movable or true aquatic benthic macroinvertebyates such as aquatic bugs, aquatic beetles, and gastropods recovered earlier after flood. In the study sites of Upo wetlands, Upo and Sajipo areas showed relatively higher values of average diversity index which may indicate a good habitat condition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저자
  • 배연재
  • 조신일
  • 황득휘
  • 이황구
  • 나국본